산업 이미지 분석 최적화 한 ‘비전프로 딥러닝’
코그넥스, 일본 최대 주택 건설사 ‘세키스이 하우스’ 제품 결함 검사 자동화
신기술&신제품 | 윤성준 기자 | 입력 : 2020.11.25

산업용 머신비전 분야 글로벌 긷업 코그넥스는 육안 검사와 컴퓨터 시스템의 장점을 결합한 ‘비전프로 딥러닝’을 ‘세키스이 하우스’에 적용했다고 25일 밝혔다.
일본 최대 규모의 주택 건설사인 세키스이 하우스(Sekisui House)의 제품 결함 검사 자동화를 위해 딥러닝 소프트웨어 ‘비전프로 딥러닝(VisionPro Deep Learning)’에 라인 스캔 카메라와 LED 조명을 결합한 솔루션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연 매출 200억 달러(한화 2조2천억 원)에 육박하는 세키스이 하우스(Sekisui House)는 1960년 설립된 일본 최대 주택 건설사 중 하나로, 시즈오카 및 도호쿠 공장에서 독특한 벨번 세라믹 타일을 제작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주로 고급 주택 건설에서 외벽 마감 및 피복에 사용되는 벨번 세라믹 타일은 점토로 만들기 때문에 제작 과정에서 외부에 작은 덩어리나 선이 남아 있는 경우가 있어, 제품 외관의 결함 제거를 위해서는 타일의 모든 면을 정밀 검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육안 검사만으로는 많은 작업량을 한꺼번에 처리하기 힘들고, 자동 검사에선 검출이 가능한 잠재적 시각적 결함을 기존 룰 베이스 머신비전으로 일일이 프로그래밍하기엔 매우 까다롭고 시간 소모적이었다. 세키스이 하우스은 어쩔 수 없이 과거 수율(생산량 중 합격품 비율)과 비효율적인 수동 검사를 바탕으로 생산계획을 수립해야 했기 때문에 재고량은 증가했고, 그 중 일부는 악성 재고가 됐다.
코그넥스는 세키스이 하우스의 검사 문제 해결을 위해 라인 스캔 카메라와 LED 조명에 ‘비전프로 딥러닝’을 결합해 시즈오카와 도호쿠 공장에 배치했고, 생산 공정 전반에 걸친 외관 결함 검사 자동화를 진행했다.
공장 자동화를 위한 딥러닝 기반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인 ‘비전프로 딥러닝’은 제조 환경을 위해 특별히 설계됐으며, 실제 산업 이미지 분석에 최적화된 알고리즘으로 기존 머신비전 시스템으로는 힘들었던 조건이 까다롭거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복잡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소량의 이미지 데이터로도 다양한 결함 식별 가능 - 일반적으로 오픈소스 딥러닝 툴은 허용되지 않는 결함 중에서 허용 가능한 결함을 구분하기 위해 엄청난 양의 이미지 데이터를 필요로 하지만, 제조 환경을 위해 제작된 비전프로 딥러닝의 결함 감지 툴은 약 100개의 양품 이미지 샘플 세트만으로도 다양한 외관 결함을 구별해 낼 수 있다. 타일의 성형 공정에서 발화 단계가 끝나면 라인 스캐닝 카메라와 LED 조명이 자동 검사를 위해 제품의 외관 이미지를 캡처하고 이미지를 분석해 돌출되거나 움푹 들어가거나 원하지 않는 선과 같은 결함을 식별한다.
빠른 검사 처리 속도로 생산 라인에서 실시간 결함 감지
비전프로 딥러닝으로 200 x 32 cm 크기의 재료 하나를 검사하는 데에는 약 2초 밖에 걸리지 않지만, 동일한 재료의 외관 결함 검사를 사람이 동일한 속도로 수행하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다. 제품의 변형된 지점을 선택적으로 검사해 빠른 검사 처리 속도로 결함을 구별하는 비전프로 딥러닝은 성형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공정 초기 단계에서 빠르게 불량품을 찾아낸다.
비전프로 딥러닝은 딥러닝 툴과 함께 다양한 기존의 머신비전 툴도 선택할 수 있어, 제조 환경에 맞는 검사를 개발하고 통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췄다. 복잡한 특징과 물체를 찾는 ‘블루-위치 식별 툴’, 이상 및 미적 결함을 감지하는 ‘레드-분석 툴’, 물체나 전체 장면을 분류하는 ‘그린-분류 툴’, 광학 문자 인식(OCR)을 위한 ‘블루-판독 툴’ 중에서 상황에 따라 선택해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코그넥스코리아 문응진 대표는 “코그넥스의 ‘비전프로 딥러닝’은 구축하기 쉬운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육안 검사의 정교함과 유연성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의 기능과 반복성, 신뢰성을 모두 결합해 자동화가 어려웠던 검사들을 해결하고 있다”라며, “특히 이미지 세트가 제한돼 있는 공장과 제조 환경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과 유연성을 갖추고 있어, 기존 머신비전의 한계를 뛰어넘어 산업 자동화의 미래를 가져올 수 있는 획기적 검사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관련뉴스
많이 본 뉴스
-
폴리우레탄 솔루션 햅텍스(Haptex®),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니오(NIO) 적용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의 햅텍스(Haptex®) 소재가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전기차 스타트업 니오(NIO)의 ES6 모델 시트 커버에 적용된다. 9일 바스프에 따르면, 햅텍스 소재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은 첫 폴리우레탄 솔루션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VOC)과 악취를 감소시
-
폐유리 재활용 유리섬유로 만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듀레탄 에코’
'일회용 사회(throw-away society)' 탈피와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로의 전환에 일조하고 플라스틱의 지속가능성을 지속 개선하기 위해 열가소성 플라스틱 컴파운드 및 복합소재 생산에 재활용 원료 사용을 늘려가고 있다. 자원 소비에 의존도를 낮춘 성장을 지속하고 탄소발자국 감축, 환경 보호
-
배터리 안전성 및 성능 강화를 위하 EU 유럽표준 개발
Weiss Umwelttechnik이 EU 리서치 센터(JRC)가 사용할 에너지 밀도 높은 리튬 이온 배터리용 특수 테스트 벤치를 기획, 이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7일 Weiss Umwelttechnik에 따르면, 배터리 작동 중 컴퓨터 단층 촬영(CT) 이미지를 제공하고 동종업계 최초로 새로운 특수 시험 챔버를 제공했다고 밝
-
딥러닝 기반 산업용 스마트 카메라, 내장형 비전 시스템
산업용 머신비전 분야 글로벌 기업 코그넥스는 세계 최초로 딥러닝 기반 검사로 높은 정밀도를 제공하는 산업용 스마트 카메라인 ‘코그넥스 인사이트(In-Sight) D900’을 출시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코그넥스 인사이트 D900은 산업용 등급을 갖춘 스마트 카메라인 인사이트(In-Sight)에 딥러
-
세계 최초 미세먼지 포집기 양방향 전기집진기 상용화
대구 1호선 상인~월촌역 구간 본선 터널 환기구 4개소에서 리트코 양방향 전기집진기를 시범 운영한 결과,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90% 이상인 것으로 확인했다. 리트코와 대구도시철도공사는 2014년 양방향 전기집진기를 시범 설치해 5년간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측정한 결과다. 90% 제거했다는 것은
가상화폐 시세


추천제품
1/8
-
[신품] 슬라이딩도어,전동슬라이딩도어,전동슬라이딩양개도어 협의
-
[신품] 무세제세척기, 세척기, 이온수 (eWASH)생성기
-
[신품] 전기마루광택기 거산산업
-
[신품] 팽창흑연가스켓 yJ40-GK
-
[신품] 자동포장기계,삼면포장기 제작전문 썬팩코리아 !!
-
[중고] 액기생 탁상프레스 전동프레스 협의
-
[신품] 고해상 육안 검사시스템,현미경 협의
-
[신품] 음식물처리기 JDW-600G
-
[신품] 소형탭핑머신, 오토매틱탭핑기계. 탭핑머신, 탭핑기, 탭핑기계 협의
-
[신품] 천막사 하우스파이프밴딩기 제이와이산업
-
[신품] 테이프의모든것!! 리더스테이프가 정답
-
[신품] 에프론400키로 쇼트기계 20,000,0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