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뉴스그래픽] 한국, 오는 2027년 글로벌 지식재산 톱3 도약

특허청, 기업의 지식재산 기반 해외 진출 지원 강화

[뉴스그래픽] 한국, 오는 2027년 글로벌 지식재산 톱3 도약 - 산업종합저널 동향


특허청은 새정부의 지식재산 분야 종합계획 ‘역동적 경제 실현을 위한 지식재산 정책방향’을 19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오는 2027년까지 글로벌 IP(Intellectual Property) TOP 3 도약을 목표로, 지식재산 전 분야의 역량을 강화해 글로벌 지식재산 선진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정부는 이를 위해 3대 추진 전략과 8개 핵심과제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추진전략으로는 ▲기반이 단단한 심사·심판 ▲과학·산업계가 체감하는 IP 서비스 혁신 ▲우리기업의 IP 기반 해외진출 지원 강화 등이다.

특허청은 이 같은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내·외부 역량은 물론 해외 역량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특허출원량은 2030년 경이면 한국은 24만9천901건, 일본 24만4천5건으로 예측한다면서, 한국이 일본을 추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인실 특허청장은 지식재산이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회복할 수 있는 원동력인만큼, 향후 지식재산의 기반을 공공히 해 역동적인 경제 성장을 견인하겠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9월 산업활동, 선행 및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흐름 상이

국내 전월대비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하락,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상승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2로 전월대비 0.1p 하락했다. 순환변동치가 100 미만이면 추세보다

[뉴스그래픽] ‘직원경험’…기업 성장의 새로운 기준으로 떠올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직원들이 회사에 기대하는 기준이 변화하면서 이에 대응하지 않으면 유능한 인재를 놓칠 수 있는 상황에 몰리고 있다. 이로 인해 직원경험(EX)을 높이는 것이 기업의 우선 순위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워크데이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이미라 한국타이어 ESG 위원장겸 사외이

[뉴스그래픽] 2023년 기계산업, 경기 침체 분위기 속 긍정적 요인 존재

올해 한국의 기계산업 경기가 안정 또는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지만, 약간의 긍정적 요인과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기계연구원(KIMM)이 최근 발표한 ‘기계산업 2022년 성과와 2023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기계산업의 생산은 전년대비 3.9% 증가한 112

[뉴스그래픽]직업 전문가, “인공지능은 일자리 빼앗지 않아…변화시킬 뿐”

인공지능은 커다란 변화를 몰고 올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엔 두려움과 기대가 혼재돼 있다. 고된 노동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 줄 것이라는 기대와 인공지능 로봇에게 일자리를 뺏길 것이라는 두려움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직업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의 ‘직무

[뉴스그래픽] 전경련, “‘이트모’ 확보위해 ‘한국형 국제감축모델’ 개발해야”

정부가 지난 21일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3∼2042년) 정부안을 발표한 가운데, 국제 감축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파리협정’ 체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일본의 국제 감축 전략을 벤치마킹해 한국형 국제 감축 모델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