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열분해 기술로 폐타이어 재활용

폐타이어 재활용, 인식 개선 및 재활용 유인책 필요

기후 위기 대응 차원에서 폐기물 자원을 재활용하는 순환자원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에 참가한 친환경 소재기업 (주)엘디카본은 폐타이어를 수집해 재활용하는 과정을 소개했다.

이 회사는 폐타이어나 기타 고무 제품을 수거해 열분해 과정 통해 카본블랙이나 오일 등 함유된 소재를 추출해 이를 다시 생산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열분해 과정을 거친 타이어에선 카본블랙 약 30~35%, 오일 40%, 가스 10%, 스틸 15%가 추출돼 재활용 하고 있다.

열분해 기술로 폐타이어 재활용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열분해로 추출한 폐타이어 소재


현장에서 만난 (주)엘디카본의 양인호 이사는 "카본블랙은 대체로 폐타이어 업체에서 많이 활용하고 그 외 고무 제품 생산 업체로 공급된다"라며 "오일, 가스, 스틸 등 모든 원료가 재활용될 수 있는 소재다"라고 했다.

현장에서 만난 (주)엘디카본의 양인호 이사는 "그동안 폐타이어는 매립하거나 소각용으로 태우면서 환경 문제가 컸던 품목이었다"라며 "환경에 관한 관심이 늘면서, 최근에는 국내 기업들 뿐만 아니라 해외 타이어 생산 업체들도 재활용 카본블랙에 관한 관심이 부쩍 늘고있는 추세다"라고 얘기했다.

합성 고무, 필러, 합성 섬유 등 석유 소재 기반으로 구성된 타이어는 소각 시 다이옥신과 같은 독성화학물질 등이 발생하면서 환경 문제를 유발한다.

그에 따르면 전세계 폐타이어 발생량은 연간 약 1천350만t(톤)이 발생하고 있다. 대한타이어산업협회 자료를 보면 지난해 국내 폐타이어 발생량은 38만3천800t로 집계된다. 이 가운데 절반 가량이 매립되고, 그 외에 대부분 타이어가 연료로 활용되며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하고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순환자원 업계 전망에 관해 양인호 이사는 "긍정적으로 내다보고 있다"면서도 "다만, 아직도 많은 폐타이어가 소각장으로 가고 있는 것으로 안다. 인식 개선이나 보다 나은 방법으로 재활용하도록 유인책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열분해 기술로 폐타이어 재활용

기후 위기 대응 차원에서 폐기물 자원을 재활용하는 순환자원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에 참가한 친환경 소재기업 (주)엘디카본은 폐타이어를 수집해 재활용하는 과정을 소개했다. 이 회사는 폐타이어나 기타 고무 제품을 수거

[DTon] 고소 작업 시, 추락 방지 위한 ‘발끝막이판’

건물의 골조를 세우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활용한다. 그중에서도 갱폼(Gang Form)은 건축 구조물의 시공성을 높이기 위해 각 부재들을 건물의 형태대로 제작한 거푸집이다. 갱폼이 위치한 층수에서 슬래브 타설을 하는 콘크리트 작업자와 견출 작업자들은 갱폼에 구축된 작업발판을 이용해 이동하기

[DTon] 풀림 방지 강화한 원터치 샤클로 중량물 낙하 예방

건설현장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현장에는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한 중장비 및 타워크레인이 존재한다. 높은 곳에 상주하는 타워크레인 기사는 현장 내 작업자와 무전기를 통해 수신하며 자재를 다른 장소로 옮긴다. 중량물에 결속하는 장비는 슬링이라는 인양 로프와 이를 걸어주는 샤클이 사용된다.

[DTon] 건설안전, 현장의 목소리 반영해 개선

경기 고양시 KINTEX(킨텍스)에서 ‘2022 한국건설안전박람회’가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 간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이동식 CCTV 제조 및 판매, 관리 업체 (주)지에스아이엘(GSIL)은 건설 현장의 애로사항을 고려해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건설 현장의 안전성을 높이는 제품을 선보였다.

기술은 '가치중립적’… 생성형 AI 악용 줄이려면?

‘챗GPT’와 같은 대화형 인공지능(AI) 및 생성형 AI 기술이 사람들에게 익숙하게 자리 잡아가고 있지만 그 이면의 사회적 문제 역시 불거지고 있다. 텍스트와 이미지, 동영상 등을 생성해 내는 생성형 AI는 활용과 규제에 대한 논의보다 앞서 대중에 공개되며 기능의 악용, 저작권 문제, 무차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