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북미 전기차 시장 확대 최대 수혜국은 한국…“갑 같은 을 됐다”

투자증권 전문가 세계 시장 분석, “글로벌 완성차 업체 협업 선택지 韓 배터리 3사 뿐”

북미 전기차 시장 확대 최대 수혜국은 한국…“갑 같은 을 됐다” - 산업종합저널 동향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

북미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확대됨에 따라 배터리 수요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 배터리 업계가 북미 시장을 주시하는 가운데, 북미 배터리 수요 증가의 최대 수혜국이 한국이 될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5일 상암동 중소기업DMC타워에서 열린 ‘K-배터리 산업전망 컨퍼런스’에서 “미국 시장에서 글로벌 완성차 업체가 선택할 수 있는 기업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의 국내 배터리 3사밖에 없다”고 말했다.

중국에 집중된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발의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은 미국 내 생산한 배터리에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테슬라를 비롯한 미국 시장의 완성차 기업은 어느 업체와 배터리 공장을 세울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정원석 연구원은 “중국은 미국의 제재를 직접 받고, 일본은 해외시장 진출 및 증설에 보수적이고, 미국의 신생기업은 기술력이 떨어진다”면서, “실질적인 선택지가 한국의 배터리 3사로 좁혀지면서 엄청난 구매협상력이 생겼고, ‘갑 같은 을’이 됐다”고 말했다.

한국 배터리 업계는 유럽보다 북미 시장을 중시하고 있다. 중국 배터리 업체와의 직접적인 경쟁을 피할 수 있어서다. 유럽의 CRMA(핵심원자재법)도 특정국의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발의됐지만, 중국 기업의 유럽 시장 진출을 직접적으로 배제하지는 않는다. 유럽 시장에서는 필연적으로 중국 배터리 업체와 경쟁하게 되는 것이다.

북미 시장은 전기차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배터리 수요가 확대될 뿐 아니라, 큰 차를 선호하는 미국 소비자의 특성상 탑재되는 배터리 용량이 커 수익성도 높다. 배터리 보조금으로 가격 경쟁력을 갖추기 유리한 장점도 있다. 정 연구원은 “IRA로 북미 시장이 국내 배터리 산업 성장의 중심축이 됐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로봇산업협회, 독일 뮌헨 로봇자동화 전시회 한국관 운영

AUTOMATICA 2023(독일 뮌헨 로봇자동화 전시회)가 지난달 27일부터 30일까지 나흘동안 독일 뮌헨(Trade Fair Center Messe München)에서 펼쳐졌다. 2004년부터 격년제로 열리고 있는 독일뮌헨로봇자동화 전시회는 메쎄 뮌헨(Messe München) 주최로 로봇과 스마트자동화, 모션제어, 인공지능(AI) 분야

네옴 첫 아시아 전시회, 다음 달 26일 한국에서 개최

네옴 전시회가 한국에서 열린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와 네옴(CEO 나드미 알 나스르)은 오는 7월 26일부터 8월 3일까지 9일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네옴 전시회(Discover NEOM: A New Future by Design)‘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지난 4월 5일에 있었던 원

배터리 소재, 한-중 협력 투자 증가... ‘위험한 동침’ 주의해야

미국의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전기차 가치사슬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 지배적) 시행을 계기로 국내 주요 기업들이 배터리 핵심 소재의 국내 생산 능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기업들은 미·중 갈등에 따른 규제 리스크 분산 목적으로 한국 배터리 기업과

2025년부터 재활용 어려운 플라스틱 전면 금지

뉴질랜드는 지난 해 10월을 시작으로 단계적인 플라스틱 금지법을 시행하고 있다. 오는 7월 2차 시행을 앞두고 있다. 단계적 플라스틱 금지법은 총 3단계로 시행한다. 3차는 2025년 중반부터 더욱 강화된다. 뉴질랜드는 이미 폐기물최소화법(Waste Minimization Regulations

영국 자동차 생산 ↓ 전기차 생산 ↑

영국의 지난한 해 자동차 생산량은 세계적인 칩 부족과 구조적 변화로 인해 9.8% 감소, 77만5천14대를 기록했다. 영국 자동차산업협회(Society of Motor Manufacturers and Traders, SMMT)가 발표한 최신 동향 보고에 따르면, 10월과 11월 성장세를 이어왔으나, 12월 생산량은 17.9% 감소했다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