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산업+Culture]파업전야, 33년 전 영화가 보내는 각성의 메시지

다가오는 근로자의 날, 노동 현장은 얼마나 바뀌었을까

[산업+Culture]파업전야, 33년 전 영화가 보내는 각성의 메시지 - 산업종합저널 기타
출처 한국영상자료원

어두컴컴한 금속 공장에 쇳물이 흐른다. 안전장치도 없는 유압 해머에 손을 넣어 강철을 다듬는다. 작업반장은 생산량을 높이려 안달이다. 욕설은 기본, 폭력도 마다하지 않는다. 기름때를 씻지도 못하고 밥을 먹는다.

잔업과 철야는 예삿일이다. 철야 작업을 마치면 새벽 1시, 집에도 가지 못하고 회사에서 잠을 청한다. 일이 많아도 회사는 사정이 어렵다는 핑계로 월급 인상에 인색하다. 작업자들의 월급은 20만 원 남짓이다. 몸을 쓰는 노동자들은 시간만 나면 몸을 위로하기 바쁘다. 족구로 몸을 데우고, 담배로 몸을 태우고, 술로 몸을 녹인다.

열악한 노동조건과 낮은 임금으로 불만의 기운이 여기저기서 고조된다. 비밀리에 민주노조를 결성하려 하지만, 이를 감지한 회사는 어용노조를 세우며 방해한다.

경계에 선 노동자의 고뇌 <파업전야>

<파업전야>(1990)는 1988년 호황을 누리던 ‘동성금속’을 배경으로 착취를 당하던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하기까지의 험난한 과정을 보여준다. 평면적인 이야기로 보일 수 있지만, 사측과 노조 측의 경계에서 고뇌하는 ‘한수’를 주인공으로 세워 이를 벗어난다.

금속공장 노동자인 한수는 지긋지긋한 가난에서 벗어나려 열심히 일한다. 동생을 대학에 보내고, 사랑하는 사람과 살 집을 마련하려면 잔업도 마다할 수 없다. 말 잘 들으면 승진시켜주겠다는 간부의 말에 더 성실히 일했다.

어느새 한수는 노조 활동을 막기 위해 회사가 결성한 ‘구사대’의 편에 서 있다. 사람답게 살기 위한 동료들의 투쟁과 일자리를 지켜야만 하는 한수의 절박함이 부딪힌다.

노조를 결성하려다 강제 퇴직당한 사람들은 회사에 몰래 숨어들어 건물을 점거한다. 하지만 사측은 깡패를 고용해 이들을 무자비하게 제압한다. 한수는 피투성이가 된 전 동료들의 모습을 목격하고 마침내 각성한다. 동료를 구하려 다른 노동자들과 함께 뛰쳐나간다.

자신이 근로자임을 잊은 사람들에게

영화는 소란스러웠던 80년대 후반의 산업현장을 그대로 보여준다. 노동자들을 분열시키려는 사측의 전술, 이로 인한 동료들의 갈등과 배신이 적나라하다. 특히 ‘빨갱이’라는 단어는 섬뜩하다. 노조를 결성하려는 분위기가 감돌자 회사는 직원들을 모아 ‘노조는 곧 공산주의자’라고 세뇌한다.

영화가 개봉된 33년 전의 상황과 지금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노조’와 관련한 뉴스 기사 댓글에는 어김없이 ‘빨갱이, 공산주의자, 이직할 능력도 없는 사람들’이라며 비난 댓글이 달린다. 근로 환경 개선을 요구한다는 이유만으로 비난을 받는 것이다.

극중에서 노조 결성을 주도했던 원기는 고뇌하는 한수에게 이렇게 말한다.

“한수야, 우리가 가난한 건, 네가 학교에 못 간 건 우리 것을 빼앗겼기 때문이야. (중략) 돈은 중요한 게 아니야. 중요한 건 바로 인간답게 살아간다는 것이지”

자신들의 가난이 착취당하기 때문임을, 인간답게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자각한 노동자들. 영화가 추구하는 ‘노동자가 주인이 되는 세상’은 다소 투박한 표어로 들릴 수 있다. 하지만, 변화를 꿈꿨던 그들의 이야기는 지금도 가치 있다.

<파업전야>는 한국영상자료원이 2014년 선정한 한국영화 100선에 올랐다. 근로자의 날을 앞두고 영화를 통해 과거의 노동 현장을 들여다 보는 것이 어떨까. 영화를 보고 ‘와, 이런 시대도 있었어?’라는 반응이 나오면 좋겠지만, 아쉽게도 영화가 보내는 각성의 메시지는 33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유효한 것 같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산업+Culture] 미래 우주 시대, 함께 살기 위한 길 - ‘마션’

* 주의! 스포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x됐다. 그것이 내가 심사숙고 끝에 내린 결론이다” 파격적인 첫 문장으로 시작하는 동명의 소설이 원작인 영화 ‘마션(Martian)'(리들리 스콧 감독, 2015)은 NASA의 화성탐사대원 마크 와트니(맷 데이먼)가 화성에서 홀로 살아남아 지구로 돌아가기 위해 분투

[산업+Culture] SF 영화로 보는 로봇 윤리 문제

* 주의! 글의 특성상 스포가 있습니다! 22세기 급격한 기후변화로 폐허가 된 지구, 인류는 우주에 쉘터를 만들어 이주하지만, 오랜 내전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주인공 ‘윤정이(김현주)’는 백전백승 수많은 작전을 성공시킨 전설의 용병이다. 그녀는 딸 ‘윤서현(강수연)’의 치

[산업+Culture] ‘후아유’, 메타버스(Metaverse)의 미래를 점치다

지난 2019년 발생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점차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언택트 시대가 도래했다. 국내도 예외는 아니었다. 많은 기업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면 업무를 대체할 하나의 대안으로 메타버스(Metaverse) 시스템을 도입했다. 메타버스는 가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 세계

[산업+Culture] 빅데이터 사회, 더 중요해지는 인간의 선(善) ‘조작된 도시’

‘눈을 뜨니 앞이 흐릿하고 어지럽다. 두 손을 묶은 은색 수갑이 보인다. 잠을 자고 일어난 것 같은데, 경찰이 내게 살인자라고 한다. 한 여자를 죽였다는데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나는 그저 그 사람의 휴대폰을 주워서 돌려주고, 조금 많은 사례금을 받았을 뿐인데. 내가 살인자라니. 전혀

[산업+Culture] 부조리 속 근로자의 눈물,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

*주의! 스포가 있습니다. 7년간 원청업체 근무를 했지만, 돌아온 것은 권고사직이었다. 자리를 버티고 있자 하청업체로 파견 발령이 났다. 하청업체 파견직 1년을 채우면 원청으로 복직할 수 있다는 조건이지만, 말이 발령이지, 사실 제 발로 나가라는 뜻임을 안다. 그러나 내 자리를 다시 돌려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