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산업IN]서울시 고정밀 공간정보 활용 가능한 ‘디지털 트윈랩’ 열려

상암동 서울스마트시티센터에서 공개제한 공간정보 열람 가능해


서울시와 서울디지털재단이 고정밀 공간정보를 활용, 자율주행 등 신산업 혁신기술과 재난재해 등 행정 시뮬레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랩’을 운영하고 있다.

상암동 서울스마트시티 내에 마련된 디지털 트윈랩은 서울시의 고정밀 공개제한 공간정보를 열람하고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유일한 오프라인 공간이다.

사전예약과 간단한 보안 절차만 거치면 시민, 기업, 학생 등 누구나 필요한 정보를 열람하고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서울디지털재단 김종호 선임은 “서울시가 보유하고 있는 공개제한 공간정보는 시민이나 기업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어, 필요시 서울시의 심사를 거쳐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라며 “실질적으로 어떤 정보들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방문해서 열람해 보고 시뮬레이션까지 할 수 있는 공간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기대효과에 대해 “디지털 트윈랩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들을 활용해 다양한 디지털 트윈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공에 적용돼 공간 정보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 트윈랩은 서울시의 공간정보 370여 종(공개 203종, 공개제한 168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서울시의 3D건물, 드론 영상, 항공 라이다 데이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디지털재단 강요식 이사장은 “공간정보 활용의 중요한 오프라인 거점으로써 운영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와 서울디지털재단은 운영사업의 일환으로 디지털 트윈 콘텐츠 제작 지원사업, 공간정보 활용 콘텐츠 공모전, 공간정보 특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산업IN]‘디지털 입은’ 전시회… 2023 한-스위스 혁신주간 ‘차원여행’특별전

디지털 기술이 일상 곳곳에서 쓰임새를 넓혀 가는 가운데, 전시 산업에서도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한-스위스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마련된 2023 한-스위스 혁신주간 ‘차원 여행 (Travel Across Boundaries)’ 특별전은 메타버스와 인공지능을 활용했다. 메타코리아(구 페이스북코리아)가 커

[산업人] 마이스 산업 본연에 집중… "팬데믹 오히려 기회"

코로나19는 우리 생활은 물론 산업계 전반을 뒤흔들어 놓았다. 마이스(MICE) 산업도 코로나19로 난항을 겪었다. 국내전시회 및 글로벌 규모의 오프라인 행사는 해외 판로개척이 어려워짐에 따라,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언택트(Untact, 비대면)’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팬데믹으로

[산업人]“챗GPT,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

지난 4월 26일 서울디지털재단은 ‘서울시민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챗GPT, 메타버스 서울’특강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특강은 선착순으로 300명을 받아 진행됐는데, 일주일 만에 신청이 마감되고 현장에서도 빈자리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시민들의 관심이 뜨거웠습니다. 본지는 서울디지털재단

[산업人] 中 카메라 모듈 제조업, “한국은 해외진출의 교두보”

최근 중국 기업 리오프닝이 세계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15일 중국 과학기술 기업들이 ‘글로벌 공세 전개 중’이라는 내용을 보도했다.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을 접고 경제 정상화로 눈을 돌리면서 중국 정부가 나서 해외 기

서울 지하철, ‘자동안전발판’ 시범운영… ‘발빠짐’ 사고 예방한다

서울 지하철에 승강장 발빠짐 사고를 막고 안전한 지하철 이용 환경을 조성할 자동안전발판이 설치된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는 시청역 등 5개 역 25개소에 자동안전발판을 시범 설치하고, 7일부터 순차적으로 영업 시운전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지하철 발빠짐 사고는 주로 곡선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