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뉴스그래픽]SEMI, 내년 '반도체 장비' 시장 1천억 달러 돌파" 전망

올해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 약 19%↓… 내년 '강력 반등'

[뉴스그래픽]SEMI, 내년 '반도체 장비' 시장 1천억 달러 돌파" 전망 - 산업종합저널 동향

글로벌 반도체 장비·재료 관련 산업 협회인 SEMI가 내년 반도체 장비 시장이 크게 반등하며 매출액 1천 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판매가 부진했던 D램과 낸드 장비 매출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SEMI는 최근 발표에서 올해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은 전년대비 18.6% 감소한 874억 달러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내년에는 부진을 딛고 전공정과 후공정 장비 매출액이 모두 상승해 1천 억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정별로 보면 웨이퍼 가공, 팹 설비, 마스크/래티클 장비 등을 포함하는 팹 장비분야가 올해 추정치인 764억 달러 대비 14.8% 증가한 878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테스트 장비와 어셈블리 및 패키징 장비 부문도 올해(64억 달러)보다 각각 7.9%, 16.4%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분야별로는 전체 웨이퍼 팹 장비 매출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파운드리 및 로직 애플리케이션용 반도체 장비 매출액은 내년 3%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D램 장비 매출액은 메모리 및 스토리지에 대한 소비자와 기업의 수요 부진으로 올해 28% 감소한 88억 달러가 전망되지만, 내년에는 31% 반등한 116억 달러가 예상된다. 낸드 장비 매출은 올해 84억 달러로 51% 감소했지만 내년에는 133억 달러로 59% 급증할 전망이다.

SEMI의 CEO인 아짓 마노차는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반도체 장비 시장은 2023년 조정 후 2024년 강력한 반등을 보일 것"이라며 "특히 첨단 애플리케이션의 수요로 인해굳건한 장기 성장이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한편, SEMI는 내년 중국이 대만을 제치고 반도체 장비 지출 1위 국가를 탈환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대부분 지역의 반도체 장비 매출이 성장세를 보 되찾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9월 산업활동, 선행 및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흐름 상이

국내 전월대비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하락,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상승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2로 전월대비 0.1p 하락했다. 순환변동치가 100 미만이면 추세보다

[뉴스그래픽] 2023년 기계산업, 경기 침체 분위기 속 긍정적 요인 존재

올해 한국의 기계산업 경기가 안정 또는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지만, 약간의 긍정적 요인과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기계연구원(KIMM)이 최근 발표한 ‘기계산업 2022년 성과와 2023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기계산업의 생산은 전년대비 3.9% 증가한 112

[뉴스그래픽] AI 고도화로 대체될 직업은?

챗GPT의 충격적인 등장으로, 코로나19 발병 이후 메타버스에 꽂혀있던 우리의 시선은 어느새 AI를 향하고 있다. IT업계를 넘어 각종 산업계, 심지어 행정·법조계에까지 AI의 영향력이 미치면서 인류는 ‘AI가 우리의 삶을 어디까지 바꿀 것인가’에 대해 연일 토론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금융

[뉴스그래픽]직업 전문가, “인공지능은 일자리 빼앗지 않아…변화시킬 뿐”

인공지능은 커다란 변화를 몰고 올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엔 두려움과 기대가 혼재돼 있다. 고된 노동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 줄 것이라는 기대와 인공지능 로봇에게 일자리를 뺏길 것이라는 두려움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직업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의 ‘직무

[뉴스그래픽] 전경련, “‘이트모’ 확보위해 ‘한국형 국제감축모델’ 개발해야”

정부가 지난 21일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3∼2042년) 정부안을 발표한 가운데, 국제 감축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파리협정’ 체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일본의 국제 감축 전략을 벤치마킹해 한국형 국제 감축 모델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