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덥고 위험한 예초작업, 로봇이 나선다

뱀, 벌, 돌 튐 등 위험…멀리서 안전하게 작업 가능

덥고 위험한 예초작업, 로봇이 나선다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덥고 위험한 예초작업, 로봇이 나선다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고된 예초작업을 로봇이 돕는다.

15일 양재 aT센터에서 진행 중인 ‘2023 대한민국 농업박람회(이하 박람회)’에 무선조종 예초로봇이 등장해 참관객의 관심을 끌었다.

업체 관계자는 “풀을 베는 예초작업은 더위도 힘들지만, 뱀이나 벌이 나오거나 돌이 튀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면서 “조종기로 멀리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라고 의의를 설명했다.

또한, “사람이 진입하기 힘든 장소나 경사진 곳도 로봇이 나서 작업자의 노력을 덜어준다”라고 덧붙였다.

업체는 예초로봇에 자율주행 기능을 접목하려 연구 중이다. 관계자는 “농업용 자율주행은 일반 모빌리티의 자율주행처럼 변수가 많지 않다”면서 “원가가 비싼 초정밀 GPS 대신, 간단한 센서로도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연구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쉬운 기술만 넣어 범용성을 확보하고, 어떤 환경에서든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면서 “원가를 낮추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열분해 기술로 폐타이어 재활용

기후 위기 대응 차원에서 폐기물 자원을 재활용하는 순환자원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에 참가한 친환경 소재기업 (주)엘디카본은 폐타이어를 수집해 재활용하는 과정을 소개했다. 이 회사는 폐타이어나 기타 고무 제품을 수거

[DTon] 고소 작업 시, 추락 방지 위한 ‘발끝막이판’

건물의 골조를 세우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활용한다. 그중에서도 갱폼(Gang Form)은 건축 구조물의 시공성을 높이기 위해 각 부재들을 건물의 형태대로 제작한 거푸집이다. 갱폼이 위치한 층수에서 슬래브 타설을 하는 콘크리트 작업자와 견출 작업자들은 갱폼에 구축된 작업발판을 이용해 이동하기

[DTon] 풀림 방지 강화한 원터치 샤클로 중량물 낙하 예방

건설현장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현장에는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한 중장비 및 타워크레인이 존재한다. 높은 곳에 상주하는 타워크레인 기사는 현장 내 작업자와 무전기를 통해 수신하며 자재를 다른 장소로 옮긴다. 중량물에 결속하는 장비는 슬링이라는 인양 로프와 이를 걸어주는 샤클이 사용된다.

[DTon] 건설안전, 현장의 목소리 반영해 개선

경기 고양시 KINTEX(킨텍스)에서 ‘2022 한국건설안전박람회’가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 간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이동식 CCTV 제조 및 판매, 관리 업체 (주)지에스아이엘(GSIL)은 건설 현장의 애로사항을 고려해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건설 현장의 안전성을 높이는 제품을 선보였다.

기술은 '가치중립적’… 생성형 AI 악용 줄이려면?

‘챗GPT’와 같은 대화형 인공지능(AI) 및 생성형 AI 기술이 사람들에게 익숙하게 자리 잡아가고 있지만 그 이면의 사회적 문제 역시 불거지고 있다. 텍스트와 이미지, 동영상 등을 생성해 내는 생성형 AI는 활용과 규제에 대한 논의보다 앞서 대중에 공개되며 기능의 악용, 저작권 문제, 무차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