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뉴스그래픽]부진 빠진 공작기계…32개월 만 수주 2천억 원 하회

수주, 생산 모두 줄었지만 수출액은 늘어…인도네시아 수출 10배 상승

[뉴스그래픽]부진 빠진 공작기계…32개월 만 수주 2천억 원 하회 - 산업종합저널 동향

공작기계 시장이 글로벌 금리 인상, 유가 상승, 중국경기 둔화, 해외 수요 감소 등으로 부진에 빠졌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1일 발표한 ‘2023년 8월 공작기계 시장동향(이하 보고서)’에 따르면 공작기계 수주는 32개월 만에 2천억 원을 하회했다.

올해 8월 공작기계 수주는 지난달보다 18.9%, 지난해 8월보다 23.7% 감소한 1천927억 원이다. 내수수주와 수출수주 모두 줄었다. 내수수주는 지난달보다 10.4%, 수출수주는 22.5%로 크게 떨어졌다.

8월 공작기계 생산도 2천41억 원으로 지난달보다 4.5% 감소했다. 지난해 8월과 비교했을 때도 7.9% 하락한 수치다.

수주와 생산이 모두 줄었지만 수출액은 늘었다. 8월 수출액은 2억 900만 달러로 지난해 8월보다 8.2%, 지난달보다 0.3% 증가했다. 올해 1~8월로 따져도 19억1천2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6% 증가했다.

국가별 수출액(1~8월)은 중국(-7.1%)은 줄었으나 미국(+19.3%), 독일(+12%), 이탈리아(+13.6%)는 늘었다. 특히 인도네시아(+1천31%)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수출액이 10배 이상 상승해 공작기계 수출 비중 3위 국가로 뛰어올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 AI 고도화로 대체될 직업은?

챗GPT의 충격적인 등장으로, 코로나19 발병 이후 메타버스에 꽂혀있던 우리의 시선은 어느새 AI를 향하고 있다. IT업계를 넘어 각종 산업계, 심지어 행정·법조계에까지 AI의 영향력이 미치면서 인류는 ‘AI가 우리의 삶을 어디까지 바꿀 것인가’에 대해 연일 토론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금융

[뉴스그래픽] 2023년 기계산업, 경기 침체 분위기 속 긍정적 요인 존재

올해 한국의 기계산업 경기가 안정 또는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지만, 약간의 긍정적 요인과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기계연구원(KIMM)이 최근 발표한 ‘기계산업 2022년 성과와 2023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기계산업의 생산은 전년대비 3.9% 증가한 112

[뉴스그래픽]직업 전문가, “인공지능은 일자리 빼앗지 않아…변화시킬 뿐”

인공지능은 커다란 변화를 몰고 올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엔 두려움과 기대가 혼재돼 있다. 고된 노동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 줄 것이라는 기대와 인공지능 로봇에게 일자리를 뺏길 것이라는 두려움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직업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의 ‘직무

[뉴스그래픽]인공지능 생태계 독점 우려…“국내 기업 적극 지원해야”

최근 인공지능(이하 AI) 생태계가 폐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국내 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수출입은행이 지난달 25일 발표한 ‘2023년 인공지능 글로벌 트렌드(이하 보고서)’는 ‘최근 AI 생태계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 중심으로 빠르게 독점화 중이며, 주류

[뉴스그래픽]SEMI, 내년 '반도체 장비' 시장 1천억 달러 돌파"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재료 관련 산업 협회인 SEMI가 내년 반도체 장비 시장이 크게 반등하며 매출액 1천 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판매가 부진했던 D램과 낸드 장비 매출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SEMI는 최근 발표에서 올해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은 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