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기술뉴스
-
[기술기고] 협동로봇(코봇)의 글로벌 전망
Interact Analysis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2018년 코봇 생산은 2017년에 비해 60%의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이는 1만9천 대의 코봇이 5억 5천만 달러 이상에 판매 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2027년까지 코봇 매출은 5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 코봇 측은 무게가 5kg 미만인 코봇과
기술이슈 | 산업종합저널 | 2021.01.19
-
내구성 높은 블록 공중합체 탄화입자와 고성능 연료전지 개발
유럽의 산업혁명이 완성돼 가던 1839년 1월, 독일의 화학자에 의해 세상에 처음 알려진 연료전지는 이제 기후변화와 에너지 위기를 타계할 고효율·친환경 미래 에너지로 부상하고 있다. 1960년대 아폴로 우주선을 통해 새로운 연료공급 패러다임을 제시한 데 이어 현재는 자율주행 기술과 결합해
기술이슈 | 김지성 기자 | 2021.01.18
-
VAD Instrument, 모션 플랫폼용으로 레니쇼(Renishaw)의 UHV 옵티컬 엔코더 선택
배경 진공 기술은 다양한 고정밀 제조 공정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응용 분야로는 반도체 웨이퍼 검사, 웨이퍼 본딩, 포토리소그래피, 박막 증착 등이 있다. 모션 플랫폼은 이러한 복잡한 절차의 필수 요소로, 진공 환경과 호환이 돼야 한다. 레니쇼(Renishaw)의 TONiC™ UHV 옵티컬
기술이슈 | 윤성준 기자 | 2021.01.12
-
불량률 제로 도전하는 인공지능 제조혁신 플랫폼(KAMP)
서비스를 활용한 (주)조선내화(이하 조선내화)의 우수 실증사례가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인공지능 제조혁신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간단한 마우스 조작만으로 내화 제품의 불량 판정에 필요한 인공지능 분석모델을 쉽고 빠르게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생성된 인공지능 분석모델을 활용,
기술이슈 | 박재영 기자 | 2021.01.08
-
[Enterprise Success Story] 화이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화이자(Pfizer Global Supply (PGS))는 전 세계 42개 제조 사업장 네트워크를 통해 매년 230억 개 이상의 의약품을 생산한다. 화이자의 글로벌 사업은 2016년 당시 보다 나은 조직을 만들기 위한 노력으로 시작했다. 목표는 ‘환자의 삶을 바꾸는 기업’이라는 화이자의 비전을 뒷받침함으로써, 데이
기술이슈 | 김지성 기자 | 2021.01.06
-
[기고] 열화상 카메라 매력 5가지 알고 있나요
열화상 카메라는 사람들이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조명 조건에 관계없이 모든 물체가 방출하는 보이지 않는 열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열화상의 가장 큰 이점은 보안 영역에 있습니다. 보안 카메라는 전국의 주요 비즈니스 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에서 보호 수단으로 사용하고
기술이슈 | 윤성준 기자 | 2021.01.06
-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증착용 금속마스크 제조장치
TV나 스마트폰, 노트북의 화질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이 한창이다. 고화질 기능은 소비자들로부터 각광받는 주요 기술 중 하나다. 고화질 구현을 위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활용한 스마트폰이 출시됐고, OLED 디스플레이 생산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 유기발광다이오드 증착용 금속마스크 장치다.
기술이슈 | 김지운 기자 | 2021.01.05
-
[기술기고] 플리어[FLIR), 자동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설비 고장, 생산 라인 중단 및 화재 예방
열화상 카메라는 인명과 재산을 비롯해 업무 수행에 필요한 장비를 보호할 목적으로도 사용됩니다. 제조 시설의 유지 보수팀은 데이터를 집계해 설비 현황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고장 여부를 확인하고자 할 것이고, 생산 관리자 또한, 제품이 생산 라인을 벗어나기 전에 제품이나 포장에 결함
기술이슈 | 윤성준 기자 | 2020.12.30
-
바닷속 위험 제거 무인기뢰처리기-Ⅱ, 전력화 완료
바닷속에 설치된 기뢰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무인기뢰처리기-Ⅱ'를 국내 기술로 개발했다. 해군은 이를 전력화 완료했다고 29일 밝혔다. 기존의 무인기뢰처리기는 해외에서 도입한 이후 장기간 운용으로 노후화됐고, 여러 제한사항과 정비 문제 등으로 신형 무인기뢰처리기의 도입이 요구돼 왔다.
기술이슈 | 김지운 기자 | 2020.12.29
-
[기술기고] Fixed Focal Length, Angular Field of View(AFOV)에 대해
Fixed focal length lens는 Angular Field of View (AFOV)가 고정된 광학 부품으로서 각기 다른 작동 거리에서 렌즈의 초점을 맞추더라도 관찰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다양한 시야(FOV)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AFOV는 센서의 가로 규격(너비)과 관련된 전체 각도(도 단위)로 지정되고
기술이슈 | 윤성준 기자 | 2020.12.29
-
내년 나노 및 소재 분야 원천기술개발 2천879억 원 투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총 2천879억 원 규모의 ‘2021년도 과기정통부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확정된 계획은 과기정통부의 소재·부품·장비 지원예산(소재·부품·장비 특별회계 기준) 4천173억 원 중
기술이슈 | 김지성 기자 | 2020.12.28
-
소리 내는 올레드(OLED) 표준화, 국제표준 선점 추진
디스플레이 스피커는 기존 스피커의 진동판 역할을 디스플레이 자체가 대신하는 기술이다. TV에 적용하면 내부 스피커 공간이 사라져 얇은 두께로 디자인할 수 있고, 외부 스피커 없이도 입체감 있는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시청자의 시선 방향에서 소리가 전달되기 때문에 현실과 유사
기술이슈 | 박재영 기자 | 2020.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