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세계 최고 수준의 5G 스몰셀 기지국 SW 국산화… 상용화 본격화

국내 연구진이 고속·고품질 통신을 제공하는 5G 스몰셀 기지국 소프트웨어(SW)를 개발했다. 최대 4G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지원하며, 스마트 제조, 국방망 등 특수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서비스 품질보장(QoS) 기

전자
조준상 기자
2025.03.05

소상공인 기업체 596.1만 개… 영업이익 감소, 부채 부담 확대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2023년 소상공인 실태조사’ 잠정 결과에 따르면, 국내 소상공인 기업체 수는 596.1만 개, 종사자는 955.1만 명으로 집계됐다. 기업체당 연매출은 1억9천900만 원, 영업이익은 2천5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으며, 부채 부담이 커진 것

동향
박재영 기자
2025.03.04

이차전지 성능 높이는 ‘플래시 공정’ 개발… 롤투롤 제조 기술과 호환

세계 최초로 이차전지 전극 제조에 롤투롤 호환 플래시 공정을 도입해 후막 전극의 성능 저하를 억제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를 통해 배터리의 가격을 낮추면서도 에너지 밀도와 용량을 높이고, 크기와 무게를 줄이는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 이차전지장비연구실

기계
조준상 기자
2025.03.04

산업용 전기요금 부담 가중… 제조업 10곳 중 4곳, ‘한전 의존 탈피’ 검토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이 지속되면서 국내 제조업체들이 전력 조달 방식을 재검토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조사에 따르면, 제조업체 10곳 중 4곳이 자가발전소 구축이나 전력 도매시장에서 직접 구매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으며, 기업 절반 이상은 높은 전기요금이 국내 투자 계획에 영향을 미칠

에너지
허은철 기자
2025.03.04

글로벌 경제 전환기 속, 올해 해외 진출 유망국 6곳 어디?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가 글로벌 경제 재편 속에서 한국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해외 진출 유망국 6곳을 선정했다. ‘2025년 주목해야 할 진출 유망국 6’ 보고서를 통해 변동성이 큰 환경에서도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있는 시장을 분석하고, 핵심 공략 전략을 제시했다. 인프라 투자 확대하는

동향
박재영 기자
2025.03.04

팡둥라이 모델, 중국 유통업계 혁신 주도… 한국 기업 기회 확대

국내 기업들이 중국 소비 시장 공략을 확대할 기회를 맞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는 중국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대형 유통업체 팡둥라이(胖东来)와 협력해 한국 기업들의 제품을 중국 소비자들에게 소개하고 수출을 지원한다. 올해 9월 말까지 ‘팡둥라이 및 협력 유통망 신규 입점

동향
김아라 기자
2025.03.04

AI PC 시장, 5년간 연평균 27.3% 성장 전망

국내 PC 시장이 AI 및 게이밍 PC 수요 증가로 프리미엄 시장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IT 시장분석 기관 한국IDC는 올해 국내 PC 출하량이 474만 대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 PC 시장이 1.1% 성장한 것과 달리, 국내 시장은 교육 부문의 디지털 교육 예산 축소와

장비
조준상 기자
2025.03.04

중소기업 생산·소매판매 동반 부진…경기 불확실성 지속

중소기업의 생산과 소비가 동반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제조업 생산은 2개월 연속 감소했으며, 소매판매도 전년 동월 대비 1.6% 줄었다. 반면, 중소기업 취업자 수는 소폭 증가했으나 증가폭이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이 발표한 ‘KOSI 중소기업 동향’ 2025

동향
박재영 기자
2025.02.28

OpenAI의 '딥 리서치' 출시로 AI 검색 시장 경쟁 가열

OpenAI가 지난 2일 '딥 리서치(Deep Research)'를 출시하면서 AI 검색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딥 리서치는 기존 챗봇 기능을 넘어 지능적 연구 보조 역할을 수행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CEONEWS에 따르면, 딥 리서치는 사용자의 질문을 바탕으로 인터넷을 광범위하게 탐색

동향
김지성 기자
2025.02.28

늘어나면서 빛과 소리를 구현하는 신축성 디스플레이 개발

국내 연구진이 신축성을 유지하면서도 빛과 소리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 의류 시장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 주목받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배진우 교수 연구팀이 신축성 투명 이오노겔 전극과 고유전율

전자
조준상 기자
2025.02.28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