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꿈의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차세대 이차전지 건식공정 혁신 기술 개발

한국전기연구원, 세계 최초 고분산성 CNT 파우더 제조 기술 공개

꿈의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차세대 이차전지 건식공정 혁신 기술 개발 - 산업종합저널 소재
KERI 한중탁 박사(앞줄 가운데)를 비롯한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CNT)를 파우더(가루) 형태로 만들어 손쉽게 분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나노융합연구센터 한중탁 박사팀이 차세대 이차전지의 친환경 건식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고분산성 탄소나노튜브(CNT) 파우더 제조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 기술은 CNT의 응집 문제를 해결하며 이차전지의 성능 향상과 제조 공정 간소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CNT는 강철보다 100배 강하고 전기전도도는 구리에 버금가는 신소재로, 기존 이차전지 도전재인 카본블랙에 비해 유연성과 전기전도성이 뛰어나다. 소량의 CNT만 첨가해도 에너지 밀도를 크게 높일 수 있지만, 응집 현상이 심해 균일한 분산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 공정에서는 이러한 문제로 인해 CNT의 상용화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한중탁 박사팀은 CNT를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면서 응집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CNT가 파우더 상태에서도 서로 엉키지 않고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으로, 건식 공정에서도 활물질과 바인더와의 균일한 혼합을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고전도성과 고용량을 동시에 갖춘 차세대 이차전지 제조의 가능성이 열렸다.

꿈의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차세대 이차전지 건식공정 혁신 기술 개발 - 산업종합저널 소재
기존 탄소나노튜브(왼쪽)는 분산이 잘 되지 않아 서로 뭉쳐진 형태지만, KERI 탄소나노튜브(오른쪽)는 분산이 잘되는 파우더(가루) 형태로 만들어져 응집이 최소화되고, 다른 물질과 잘 섞일 수 있다.

건식 공정은 유독성 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습식 공정 대비 친환경적이다. 습식 공정에서 필수적인 유기용매와 고온 건조 과정이 생략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공정 단순화로 생산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글로벌 전기차 제조업체를 포함한 관련 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해당 기술은 리튬황전지와 전고체전지 등 고용량과 두꺼운 후막 음극/양극 제조가 필요한 차세대 전지로의 응용 가능성도 열어주었다. 한중탁 박사는 “건식 공정에서 CNT를 효과적으로 분산한 것은 세계 최초이며, 이는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의 초격차를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ERI는 관련 기술에 대해 국내 특허 출원을 완료했으며, 다양한 후막 전극 제작에 적용해 검증을 진행 중이다. 또한, 리튬황전지와 전고체전지 분야의 수요 기업을 발굴해 기술 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KERI의 기본사업과 창의형융합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리튬이온전지 성능 높일 희생양극소재 개발

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우려가 커짐에 따라 탄소중립이 중요시되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산업에서는 내연기관을 이용한 기존 차량에서 전기자동차로의 빠른 전환을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전기차의 핵심 전원인 리튬이온전지(LIBs)가 부상하고 있다. 현재 상용 리튬이온전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

유기 분자·무기 원소, 중심 금속 그리고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고 이온 결정 구조를 가지는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는 현재 디스플레이 소재로 사용되는 양자점 (Quantum dot) 혹은 유기 발광소재와 비교해 제작 비용이 낮다. 색상 조절도 쉽고, 색순도가 뛰어나 차세대 디스플레이

침탄·집화열처리 기술 통해 제조업 발전과 수출 기여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동서열처리 구문서 대표를 올해 ‘이달의 기능한국인’로 각각 선정했다. 구문서 대표는 침탄과 질화열처리 기술을 보유한 열처리 분야의 최고 전문가다. 동서열처리 구문서 대표는 침탄과 질화열처리 기술로 기계 부품의 경도 강화를 통해 제조업 발전과 수

신경봉합술 가능한 피부 모사 접착 패치 개발

교통사고나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영유아들이 문틈 등에 끼어 손가락이나 인체 일부가 절단되는 외상성 절단 사고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외상성 절단 환자의 조직 재건을 위해서는 수술을 통해 뼈, 신경, 혈관 등 다양한 조직을 연결하는 봉합술이 요구된다. 절단 조직의

인공지능으로 복잡한 대사 과정 풀어

미생물 성장의 핵심 대사반응(metabolic reaction)을 규명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윤성호 교수(건국대학교) 연구팀이 인공지능과 가상세포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영양 조건에서 미생물 성장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대사반응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