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기술기고] 극초단 시스템의 열렌즈 효과 최소화하기

최근 고분산 미러 제품 발전으로 문제 극복

극초단 레이저는 펄스 지속시간이 짧고 최대 출력이 높기 때문에 소재 가공 및 의료용 레이저부터 비선형 이미징 및 현미경에 이르는 광범위한 용도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하지만 극초단 레이저는 열렌즈 효과에 특히 민감하며 이와 같은 열로 인해 이득 매질(gain medium) 또는 공동내 광학(intracavity optics)에 변형이 일어나거나 굴절률 구배가 나타나기도 하다. 이는 극초단 시스템에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특히 펄스 빔 생성 시 모드 잠금 기능을 방해하기까지 하다.

열렌즈 효과 왜 화제인가?
열렌즈 효과(Thermal lensing)는 활성 이득 매질이 기타 매질에 비해 빔의 축을 따라 더 많은 열을 갖고 있을 때 발생하며, 이로 인해 횡방향 굴절률 구배(transverse refractive index gradient)가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 공진기에 정렬 오류가 일어나거나 레이저 모드 프로파일에 변형이 일어나 빔 포인팅의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

공진내 미러(Intracavity mirror)는 또한 극초단 발진기 내 주요 부품으로써 열렌즈 효과는 이러한 미러에 왜곡을 일으킬 수 있다. 레이저 크리스털에서 빔의 초점을 맞출 때 미러의 곡률 반경에 변화가 생기면서 초점의 위치가 바뀌고 극초단 레이저의 모드-잠금 기능까지 차단함에 따라 극초단 레이저 시스템을 무용지물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 이득 매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열 속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더라도 열렌즈 효과를 방지하지 위해 올바른 공동내 미러를 신중하게 선택하면 개선의 가능성은 언제든지 열려있다.

최근에는 코팅 설계의 발전으로 매우 낮은 수준의 열렌즈 효과를 지닌 저손실 고분산 미러의 개발이 가능해졌으며, 이와 같은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광학 코팅의 각종 매개변수를 신중하게 제어하는 방식이 동원돼야 한다.

고분산 미러는 열적 안정성 외에도 대다수의 광매질에 존재하는 양의 군지연 분산(GDD)을 보정할 수 있도록 여전히 고반사율과 음의 GDD를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다. 그림 1은 1030nm 극초단 레이저와 사용하도록 설계되고 미미한 열렌즈 효과를 가진 #17-070 (UFI 파트 넘버 HD64) 고분산 미러의 반사율과 GDD를 보여준다. 이러한 미러는 특히 Yb:YAG, Nd:YAG, 홀륨, 툴륨 레이저와 같은 고출력 고체 레이저에 큰 이점을 제공한다.

[기술기고] 극초단 시스템의 열렌즈 효과 최소화하기 - 산업종합저널 부품
그림 1: 미미한 수준의 열렌즈 효과를 보이는 1030nm highly-dispersive mirror(#17-070 또는 UltraFast Innovations 파트 넘버 HD64)의 스펙트럼 및 GDD 성능

열 성능 시험
이처럼 새로운 유형의 고분산 미러는 열렌즈 효과의 수준을 검증받기 위해 테스트를 거친다. 이때 적외선 카메라(FLIR SC305)를 사용해 연속파(CW) 작동 모드에서 Yb:YAG thin-disk laser 내부에 있는 공동내 미러의 온도를 모니터링 헌다.

열렌즈 효과 저감 기술이 없고 GDD가 -3,000 fs2인 일반 고분산 미러는 50K이 넘는 온도 상승을 겪는다(그림 2). 이같은 온도 상승은 결과적으로 레이저 모드와 발진기의 안정성을 저하시킨다. 단, GDD가 각각 -1,000 fs2 및 -3,000 fs2인 고분산 미러는 동일한 설정 하에서 시험을 거쳐 10K 및 20K의 온도 변화를 경험한다(그림 3과 4).

두 미러 다 레이저 모드나 발진기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만한 열적 효과가 눈에 띄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레이저는 의도한 대로 작동할 수 있었다. [기고=에드몬드옵틱스 Dr. Vladimir Pervak]
[기술기고] 극초단 시스템의 열렌즈 효과 최소화하기 - 산업종합저널 부품
그림 2: 신규 저열렌즈 효과 코팅을 하지 않은 고분산 미러는 57K의 온도 변화를 겪으면서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일으킴.

[기술기고] 극초단 시스템의 열렌즈 효과 최소화하기 - 산업종합저널 부품
그림 3: GDD가 -1,000 fs2인 저열렌즈 미러는 10K의 온도 변화를 경험하지만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열로 인한 성능 저하는 발생하지 않음.

[기술기고] 극초단 시스템의 열렌즈 효과 최소화하기 - 산업종합저널 부품
그림 4: GDD가 -3,000 fs2인 저열렌즈 미러는 20K의 온도 변화를 경험하지만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열로 인한 성능 저하는 발생하지 않음.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술기고] 주요 전기차 배터리 제조 과제(그리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

전기차(EV) 제조업체들은 새로운 모델을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지만, 충전 시간 단축 또는 배터리 중량 감소 요구 충족과 같은 여러 과제에 직면해 있다. 성능 및 지속 가능성과 관련된 많은 문제는 배터리 제조 프로세스 자체에 있으므로 몇 가지 주요 과제와 이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기고] 데이터 레이크하우스 10가지 보안 실천 사항

클라우드에서 데이터와 분석 기능을 사용할 경우 데이터를 통한 무한한 확장성과 가능성을 통해 더 빠르게 통찰력을 얻고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데이터 레이크하우스는 어떠한 분석과 머신 러닝 활용 사례도 유연하게 실행할 수 있는 단일 플랫폼을 제공해 모든

[기술기고]소규모 제조업체들이 장비 투자를 우선시해야 하는 이유

제조업체의 경우 수익을 향상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가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생산 및 패키징 라인을 추가, 확장 또는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소규모 제조업체들은 운영 확장을 위한 물리적 공간이나 노후 산업 장비를 교체할

[기술기고] 디지털 트윈을 통한 기가팩토리 구축 촉진

전 세계적으로 전기 자동차(EV) 혁명이 한창 진행 중입니다. 증가하는 전기 자동차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려고 할 경우 처음부터 성장을 지원하는 스마트하고 확장할 수 있는 생산 전략을 통해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고 확신해야 합니다. 배터리 공급이 중단되거

제조업체, 기존 제조 공정 업그레이드 '복합 가공기에 투자해'

'기업이 안주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은 바로 경쟁입니다' 미국 사업가인 존 매키(John Mackey)의 말이다. 우리는 이를 글로벌 전기자동차(EV) 시장에서 목격하고 있다. 제조업체들은 저합금강 같은 고인성 소재를 사용해 더욱 작고 가벼운 EV 변속기를 생산해야 하는데, 기존의 제조 공정에 의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