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ETRI, 초당 5천 조 연산하는 AI 시스템 공개

자율주행차,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등 대규모 AI 서비스 활용 기대

인공지능(AI) 기술의 도입이 확대되면서 정교한 대규모 연산 처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신경망처리장치(NPU) 기반 AI 반도체가 차세대 AI 두뇌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해 NPU 기반 AI 반도체 칩 AB9(알데바란9)을 공개한 데 이어 올해 AB9 기반 보드와 AI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고, 이 칩을 기반으로 낮은 전력으로 초당 약 5천조 회 연산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개발한 NPU 보드 ‘ABrain-S’는 AB9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설계를 이뤄 부피가 작으면서도 전력 소모가 낮다. 또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처리를 위해 입출력 데이터를 16GB까지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데이터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도 적용했다.
ETRI, 초당 5천 조 연산하는 AI 시스템 공개 - 산업종합저널 전자
ETRI이 개발한 NPU보드가 서버노드에 집약되어 있는 모습이다. (자료=ETRI)

AB9이 내장된 NPU 보드는 한 서버 노드에 최대 20개씩 장착 가능하다. AB9은 동전 크기의 작은 면적에 초당 40조 회 연산 성능을 내면서도 전력 소모가 15W 수준이다.

이를 바탕으로 ETRI는 서버 노드 8개를 쌓아 랙 서버(Rack Server) 형태로 구성한 인공지능 시스템, 아트브레인(ArtBrain-K)을 만들었다. 개발한 시스템은 최대 5페타플롭스(PetaFLOPS) 성능을 발휘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개발한 시스템이 서버 1개당 1초에 약 5천조 회 연산이 가능한 셈이라며, 기존 GPU 기반 인공지능 서버 대비 약 4배의 연산 성능과 7배의 전력효율이라고 소개했다.

ETRI 한진호 인공지능프로세서연구실장은 AI 반도체 자체 개발로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AI 반도체를 탑재한 NPU 보드와 NPU 서버시스템 및 관련 SW까지 개발해 우리가 개발한 기술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강조했다.

현재 이 기술은 반도체 기업 및 AI 하드웨어 기업 등에 기술을 이전해 공항 자동 출입국 시스템에 적용해 얼굴인식 및 출입국 보안에 활용하고 있다.

향후 연구진은 이 기술을 고도화해 더 높은 성능을 지닌 서버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며, 딥러닝이 적용되는 AI 분야 부품의 국산화를 위한 지원도 진행할 계획이다.
안호진 기자
news77@industryjo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국내 연구진, 박막 탠덤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차세대 태양광 발전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며 기술 주도권 확보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에서 26.3%의 광발전성능을 구현해, 미국 국립재생에너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AI가 만든 코드, 보안·품질까지 잡았다"… ETRI, '신뢰형 코드 생성 기술' 공개

"로그인 기능을 만들어줘" 같은 자연어 명령만으로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를 생성하는 AI가 보안 취약점, 논리 오류 등 품질 문제를 드러내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AI가 만든 코드의 '신뢰성'까지 보장하는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활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