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산업지식퀴즈] 건설자재, 공장 제작 후 현장 조립하는 이 '공법'은?

주변 환경·기상 등 현장 제약 덜해

[산업지식퀴즈] 건설자재, 공장 제작 후 현장 조립하는 이 '공법'은? - 산업종합저널 동향
[산업지식퀴즈] 건설자재, 공장 제작 후 현장 조립하는 이 '공법'은? - 산업종합저널 동향
[산업지식퀴즈] 건설자재, 공장 제작 후 현장 조립하는 이 '공법'은? - 산업종합저널 동향
[산업지식퀴즈] 건설자재, 공장 제작 후 현장 조립하는 이 '공법'은? - 산업종합저널 동향





이 공법은 대형자재나 부재들을 공장에서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입니다. 현장 중심인 건설산업에서 스마트 건설 기술의 대표적 예로 각광받고 있는 공법입니다.

공정의 70~80%가 공장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주변 환경이나 기상 등 현장으로부터 받는 제약이 비교적 덜합니다.

현장 시공과 견줘 원가 절감, 공기 단축, 안전성 등에서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벗어난다고 해서 '탈현장 시공'이라고도 불리는 이 공법은 무엇일까요.

1. OSC(Off-Site Construction) 2. TD(Top-Down) 3. FC(Fast Construction)

정답은 1번 OSC입니다. 대표적인 OSC공법으로 '모듈러 공법'이 있습니다. 건물의 벽이나 창호 등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 가져와 블록처럼 쌓는 것인데요. 이 외에도 PC(Precast Concrete)·하이브리드 방식 등이 있습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산업지식퀴즈]플라스틱 재활용 한계 돌파하는 ‘이것’은?

플라스틱 재활용은 주로 두 가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재사용하는 ‘물리적 재활용’, 소각해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연료화’인데요. 품질·기능 저하, 유해 물질 발생 등 한계가 존재했습니다. 물리적·열적 재활용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것’을 포함한 화학적 재활용이 주

[산업지식퀴즈]탄성이 우수한 고성능 플라스틱인 ‘이것’은?

‘이것’은 강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입니다. 미국 듀폰(Dupont) 사가 ‘금속에 도전하는 플라스틱’을 개발하면서 1960년부터 생산 판매를 시작했죠. 금속 및 세라믹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100°C 이상 150 °C 미만의 고온 조건에서 사용할 수

[산업지식퀴즈] 반도체 산업의 구도를 바꿀 수 있는 ‘이것’은?

인공지능(AI)부터 5G, 사물인터넷(loT), 자율주행 자동차까지 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가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는데요. ‘이것’은 채널과 게이트가 4면에서 맞닿게 하는 기술로 현재 삼성전자가 유일하게 상용화한 기술입니다. ‘이것’은 접촉면이 3면에 그치는 기존 방식보다 게

[산업지식퀴즈] 인공지능이 인간을 넘어서는 기점을 뜻하는 ‘이것’은?

최근 오픈AI가 공개한 챗GPT(ChatGPT)의 등장은 전 세계인들에게 놀라움을 안기며 인공지능(AI)의 발전에 대한 새로운 기대와 두려움을 낳았습니다. 양적 팽창을 넘어 질적 도약을 이루는 특정 시점을 일컫는 이것은 AI와 사물인터넷(IoT)의 결합이 가져올 미래를 상상하는 용어로도 사용됩

[산업지식퀴즈]AI시대, 각광받는 ‘이 직업’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생성 AI기술이 앞다퉈 발표되는 가운데, ‘이 직업’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이 직업’의 사람들을 확보하기 위해 3~4억 원의 연봉을 제시했고, 국내 기업 중에도 AI기반 콘텐츠 생성 스타트업이 이 직업을 공개채용하면서 연봉 최대 1억 원을 제시해 화제가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