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ETRI, 반도체 혁신 주도할 p형 반도체 소재 개발

OLED TV와 확장현실(XR) 기기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연구 등 폭넓게 활용

ETRI, 반도체 혁신 주도할 p형 반도체 소재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자
연구진이 스퍼터 장비를 이용go Te 기반의 p형 반도체 박막을 증착 하는 모습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 산업의 혁신을 이끌 p형 반도체 소재와 이를 활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텔레늄(Te) 기반의 칼코지나이드계 p형 반도체 소재를 활용해 상온증착이 가능하고 공정이 단순한 p형 Se-Te(셀레늄-텔레늄) 합금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초저전력 반도체 소자의 성능 개선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ETRI 연구진은 n형 산화물 반도체와 p형 Te의 이종접합 구조에서 Te 박막의 전하 주입을 제어해 n형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체계적으로 조절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이동도가 개선되고, 기존 트랜지스터 대비 높은 온·오프라인 전류비 특성을 확보했다.

반도체는 도핑의 여부에 따라 진성반도체와 불순물 반도체로 구분된다. 불순물 반도체는 첨가된 불순물에 따라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로 나뉘며, 현재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주로 n형 산화물 반도체인 인듐갈륨아연산화물(IGZO)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와 240Hz 이상의 주사율이 요구되는 최신 기술에는 p형 반도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ETRI, 반도체 혁신 주도할 p형 반도체 소재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자
연구진이 p형 반도체 소자의 (현미경) 이미지를 보면서 그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고 있다.


ETRI 연구진은 Te에 Se을 첨가하여 채널층의 결정화 온도를 높여 상온에서 비정질 박막을 증착한 후 후속 열처리를 통해 이를 결정화한 p형 반도체를 개발했다. 그 결과, n형 산화물 반도체 박막 위에 Te 기반의 p형 반도체를 이종접합 구조로 도입했을 때 Te의 두께에 따라 n형 트랜지스터의 전자의 흐름을 제어하고 문턱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 이는 패시베이션 층 없이도 n형 트랜지스터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성과다.

이번 연구 성과는 고해상도와 저소비전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에 속도를 더할 전망이다. 또한, 반도체 산업에서도 큰 활용도가 기대된다. 최근 반도체 집적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적층 방식이 활용되고 있으나, ETRI 연구진의 p형 반도체 소자는 300℃ 이하의 공정으로도 안정적으로 작동해 모놀리틱 3D(M3D) 방식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

ETRI 플렉시블전자소자연구실 조성행 책임연구원은 "OLED TV와 확장현실(XR) 기기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와 초저전력 상보형 금속산화 반도체(CMOS) 회로 및 DRAM 메모리 연구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성과다"라고 말했다. ETRI 연구진은 Te 기반의 p형 반도체를 6인치 이상의 대면적 기판에서 최적화하고, 다양한 회로에 적용해 상용화 가능성을 확보한 후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할 계획이다.

ETRI, 반도체 혁신 주도할 p형 반도체 소재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자

이번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창의형 융합연구사업 'M3D 산화물반도체 기반 초저소비전력 고대역 대용량 DRAM 개발'과제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 챌린지트랙 '고해상도 대면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비실리콘 반도체 TFT와 이를 활용한 CMOS 제조 핵심 기술 개발'과제, ETRI 차세대주역신진연구사업 '초저전력 다진법 소자를 위한 고성능 반도체 트랜지스터 개발'과제로 수행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실리콘 포토닉스 4-큐비트 칩/패키지 사진 및 양자회로 개념도

세계 최초 8광자 큐비트 집적회로 칩 개발 성공 ETRI, 양자 얽힘 구현한 실리콘 포토닉스 칩 성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8개의 광자를 이용해 양자 얽힘을 구현한 큐비트 집적회로 칩을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ETRI의 양자컴퓨터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 발견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을 관측하며, 기존 스핀트로닉스 연구의 한계를 넘어설 가능성을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이경진·김갑진 교수와 서강대학교 정명화 교수 공동 연구팀이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고 5일 발표했다. 연구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CCU 기술 개발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만드는 CCU 기술이 개발돼 주목받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이효영 교수 연구팀은 새로운 가시 광촉매를 활용해 이산화탄소와 메탄올로부터 항공유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는 디메톡시메탄(Dimethoxymethane)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CCU 기술은 이

EU 환경규제 넘는 ‘PVDF 대체 배터리 바인더’, 국내서 나왔다

KERI(한국전기연구원) 절연재료연구센터 임현균·강동준 박사팀이 KIST 유정근 박사, 성균관대 김종순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차전지 분야의 ‘숨은 주역’인 바인더 성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이면서 친환경 소재까지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제 저명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됐다.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