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무질서’한 양극 소재로 배터리 성능 높인다

구조 무질서 활용 양극 소재의 전기화학 반응 최적화 방안 제시

양극 소재는 결정학을 기반으로 한 소재 연구가 주로 진행돼 구조 무질서를 결함으로 치부하고 억제하려는 연구 기조가 주를 이루었으나, 이를 기반으로 한 양극 소재의 성능 개선은 한계에 봉착했다. 최근, 양극 소재의 합성 과정 및 전기화학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다양한 구조 무질서가 불가피하게 형성될 수밖에 없으며, 이를 통한 양극 소재 성능이 개선되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구조 무질서의 원인 및 전기화학 반응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현재 봉착해 있는 양극 소재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구조 무질서에 대한 연구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배터리 성능 혁신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이 제시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강용묵 교수(고려대학교) 연구팀이구조 무질서를 통해 알칼리 이온 배터리 양극 소재의 전기화학 반응을 최적화함으로써 배터리 성능을 높이는 새로운 연구 전략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무질서’한 양극 소재로 배터리 성능 높인다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금속 산화물 양극소재 내 다양한 구조 무질서와 이를 통한 전기화학 반응 최적화

기존의 양극 소재 연구는 구조 무질서를 결함으로 치부하고 억제하려는 경향이 많았다. 그러나 이를 기반으로 한 양극 소재의 성능 개선은 이미 한계에 봉착해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양극 소재의 합성 과정 및 전기화학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형성되는 다양한 구조 무질서가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전기화학 반응의 개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 무질서의 원인 및 전기화학 반응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현재 봉착해 있는 양극 소재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구조 무질서에 대한 연구가 무엇보다 우선돼야 한다는 게 학계의 중론이다.

이에 연구팀은 기존 연구 사례에서 도입된 구조 무질서의 형태, 구조 무질서로 인해 향상된 전기화학 반응과 구조 무질서를 유발할 수 있는 6가지 화학적 원인(size effect, electrostatic interactions, super exchange interactions, Jahn-Teller effect, crystal field stabilization energy, oxygen evolution)을 정리했다.

이를 기반으로 구조 무질서가 양극 소재의 전기화학 반응에 영향을 주는 메커니즘을 밝혀냈으며, 이를 통해 양극 소재의 전기화학 반응을 최적화하는 새로운 방법론도 제안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구조 무질서를 전기화학 반응을 최적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설계 인자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면, 구조 무질서에 대한 선입견에서 벗어나 새로운 연구 기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은 물론, 차세대 양극 소재 연구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강용묵 교수는 “구조 무질서와 양극 소재의 전기화학특성 사이에 밀접한 상관관계를 고려하면 다양한 구조 무질서를 유형별로 분류하는 명확한 기준이 필수적”이라며 “이와 함께 특정 구조에서 무질서를 얻기 위한 합성 방법 및 분석법의 개발이 선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

유기 분자·무기 원소, 중심 금속 그리고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고 이온 결정 구조를 가지는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는 현재 디스플레이 소재로 사용되는 양자점 (Quantum dot) 혹은 유기 발광소재와 비교해 제작 비용이 낮다. 색상 조절도 쉽고, 색순도가 뛰어나 차세대 디스플레이

신경봉합술 가능한 피부 모사 접착 패치 개발

교통사고나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영유아들이 문틈 등에 끼어 손가락이나 인체 일부가 절단되는 외상성 절단 사고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외상성 절단 환자의 조직 재건을 위해서는 수술을 통해 뼈, 신경, 혈관 등 다양한 조직을 연결하는 봉합술이 요구된다. 절단 조직의

인공지능으로 복잡한 대사 과정 풀어

미생물 성장의 핵심 대사반응(metabolic reaction)을 규명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윤성호 교수(건국대학교) 연구팀이 인공지능과 가상세포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영양 조건에서 미생물 성장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대사반응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실리콘 포토닉스 4-큐비트 칩/패키지 사진 및 양자회로 개념도

세계 최초 8광자 큐비트 집적회로 칩 개발 성공 ETRI, 양자 얽힘 구현한 실리콘 포토닉스 칩 성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8개의 광자를 이용해 양자 얽힘을 구현한 큐비트 집적회로 칩을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ETRI의 양자컴퓨터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CCU 기술 개발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만드는 CCU 기술이 개발돼 주목받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이효영 교수 연구팀은 새로운 가시 광촉매를 활용해 이산화탄소와 메탄올로부터 항공유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는 디메톡시메탄(Dimethoxymethane)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CCU 기술은 이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