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경희대 연구팀, 시야각에 강한 고효율 신축성 OLED 개발

서민철 교수 연구팀, '나노 물결무늬 구조'로 SOLED 효율성과 안정성 확보

경희대 연구팀, 시야각에 강한 고효율 신축성 OLED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자

경희대학교 서민철 교수 연구팀이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가 적고 효율성을 높인 신축성 OLED(Stretchable OLED)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나노 물결무늬 구조'를 적용해 기존 SOLED의 한계를 보완하고, 다양한 각도에서도 안정적인 색과 밝기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

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 정보디스플레이학과 서민철 교수 연구팀이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가 적고, 효율이 높은 신축성 OLED(OLED) 개발에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저명 학술지(JCR: 1.8%)에 게재되며 그 성과를 인정받았다.

OLED는 색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미소공진 구조(microcavity structure)'를 사용한다. 이 구조는 빛이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여러 번 반사되며 특정 파장에서 공명해 선명한 색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미소공진 구조는 OLED를 측면에서 보면 빛의 경로가 달라지며 색이 변하는 단점이 있다.

서민철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노 물결무늬 구조(nanoway structure)'를 도입했다. 이 구조는 OLED 내부의 빛 경로 차이를 줄여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OLED 내부에서 발생한 빛이 외부로 더 잘 방출될 수 있어, 시야각 변화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도 높은 색순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방향으로만 반사되는 현상을 방지해 다양한 각도에서 일정한 색과 밝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경희대 연구팀, 시야각에 강한 고효율 신축성 OLED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자

나노 물결무늬 구조는 신축성 OLED(SOLED)의 단점도 극복했다. 기존 SOLED는 반복적인 신축에 취약해 효율이 감소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프리 스트레칭된 고신축성 탄성체 테이프와 나노 물결무늬가 적용된 광학 접착 필름을 사용해 신축성과 내구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OLED 소자 내 빛 소멸을 줄여 광추출 효율을 극대화하고, 외부 변형에도 견딜 수 있는 안정적인 SOLED 구조를 구현했다.

연구 결과, 전류 효율과 색순도가 크게 개선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기술이 실현됐다. 연구팀은 나노 물결무늬 구조 광학 접착 필름을 통해 OLED 소자 내부에서 빛이 갇히는 현상을 방지하며, 기존 비신축성 OLED(non-stretchable OLED)와 유사한 성능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외부 양자 효율(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은 39.50%로, 전류 효율은 221cd/A에 도달했다. 신축성 테스트에서도 소자에 100% 변형을 가한 상황에서 성능이 유지되는 안정성을 입증했다.

서민철 교수는 “SOLED는 웨어러블 기기부터 의료기기까지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을 이끌어낼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SOLED의 낮은 효율성과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나노 물결무늬 구조를 적용한 고효율 SOLED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하며, 연구 및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연구 성과는 나노 구조 물질에 대한 후속 연구의 발전 가능성도 제시했다. 특히 광전자 소자 연구 분야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신축성 및 웨어러블 전자 기기의 발전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연구팀은 나노 물결무늬 구조를 LED 등 다른 발광 장치에도 적용해 효율성을 높이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국내 연구진, 박막 탠덤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차세대 태양광 발전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며 기술 주도권 확보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에서 26.3%의 광발전성능을 구현해, 미국 국립재생에너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실리콘 포토닉스 4-큐비트 칩/패키지 사진 및 양자회로 개념도

세계 최초 8광자 큐비트 집적회로 칩 개발 성공 ETRI, 양자 얽힘 구현한 실리콘 포토닉스 칩 성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8개의 광자를 이용해 양자 얽힘을 구현한 큐비트 집적회로 칩을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ETRI의 양자컴퓨터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