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입자 아닌 껍질’ 인화갈륨 퀀텀셸 발광소재 개발

차세대 화합물 반도체 및 광전자·광학 분야 활용 기대

‘입자 아닌 껍질’ 인화갈륨 퀀텀셸 발광소재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자

인화갈륨(GaP)은 뛰어난 광학적 특성을 가진 반도체 소재로, 광전자 및 광학 분야에서 중요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지만, 간접 전이 밴드갭 구조로 인해 발광 효율이 낮아 광학 소자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 한국연구재단은 KAIST 정연식 교수와 KIST 김동훈 박사, 동국대 최민재 교수 연구팀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황화아연(ZnS)을 핵으로 사용해 극도로 얇은 인화갈륨(GaP)을 형성하고, 기존 기술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GaP의 직접 전이 밴드갭을 성공적으로 실현했다. 황화아연은 고강도 반도체로, 광학 부품에 주로 사용되는 재료이며, 이와 결합해 GaP의 발광 효율을 대폭 향상시켰다.

연구팀은 GaP와 비슷한 결정 구조를 가진 황화아연을 선택해 퀀텀셸 형태로 GaP 반도체 입자를 합성했다. 이 합성 방식은 원자층 증착법(ALD)과 에피택셜 성장 기술을 결합해 ZnS 나노결정 위에 단일원자층 GaP를 성장시키는 방법으로, GaP가 직접 전이 밴드갭을 가지게 만들었다. 그 결과, 45.4%의 양자효율을 기록하며 강한 보라색 빛을 방출하는 특성을 확인했다.

또한, 연구팀은 보호층 없이도 200일 이상 발광 효율이 유지되는 뛰어난 안정성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GaP의 직접 전이 밴드갭 전환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첫 번째 사례로, 새로운 반도체 설계와 광전자·광학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번 성과는 차세대 화합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중요한 발전을 의미하며, 향후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국내 연구진, 박막 탠덤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차세대 태양광 발전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며 기술 주도권 확보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에서 26.3%의 광발전성능을 구현해, 미국 국립재생에너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AI가 만든 코드, 보안·품질까지 잡았다"… ETRI, '신뢰형 코드 생성 기술' 공개

"로그인 기능을 만들어줘" 같은 자연어 명령만으로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를 생성하는 AI가 보안 취약점, 논리 오류 등 품질 문제를 드러내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AI가 만든 코드의 '신뢰성'까지 보장하는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활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