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나노 질화규소 전해질로 리튬 금속 전지 수명 문제 해법 제시

비불소계 첨가제 적용, 고온·고전압 환경에서도 안정성 확보

나노 질화규소 전해질로 리튬 금속 전지 수명 문제 해법 제시 - 산업종합저널 전자
리튬 금속 전지에서 나노 질화규소 첨가제의 작동 메커니즘

수명이 짧아 상용화에 걸림돌이 됐던 리튬 금속 전지에 대한 기술적 해법이 제시됐다. 국내 연구진이 나노 질화규소를 활용한 전해질을 개발해, 고온·고속 충·방전·고전압 등 극한 조건에서도 장기 사이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했다.

한국연구재단은 KAIST 이진우 교수 연구팀이 최남순 교수(포항공대), 이태경 교수(경상국립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리튬 금속 전지의 낮은 수명과 전극 부식 문제를 개선한 나노 입자 기반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리튬 금속 전지는 리튬을 음극재로 사용하는 차세대 전지로, 기존 리튬이온 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이점을 지닌다. 그러나 실용적인 조건에서는 수명이 급격히 줄고, 고전압에서는 부식이 쉽게 발생해 상용화에 제약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돼 온 불소계 첨가제는 수명을 늘릴 수 있지만, 가격 문제와 환경 유해성, 다른 전지 성능 저하 등이 한계로 지적됐다.

공동 연구팀은 비불소계 나노 질화규소를 전해질에 도입해 리튬 이온의 용매화 구조를 조절하고, 안정적인 고체전해질 계면(SEI)을 형성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나노 질화규소는 불화수소(HF)를 효과적으로 포집해 양극 부식을 억제하며, 고전압 조건에서도 계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작용했다.

이 기술을 적용한 리튬 금속 전지는 실용 조건뿐만 아니라 50℃ 고온, 1C 고속 충·방전, 4.5V 고전압에서도 장기 수명을 유지했다. 특히, 360Wh/kg급 파우치셀 실험에서 100사이클 후에도 초기 용량의 74%를 유지해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했다.

연구 책임자인 이진우 교수는 "비불소계 나노 입자 하나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고, 이를 파우치형 전지에 적용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한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의 성과는 에너지 분야 학술지 ‘에너지 앤 인바이런멘탈 사이언스(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2월호에 게재됐으며, 논문은 속 뒷표지(Inside Back Cover)에도 선정돼 주목을 받았다.

연구진은 이 성과를 통해 기존 불소계 전해질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설계 전략을 제시했으며, 고에너지밀도 대형 리튬 금속 전지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실리콘 포토닉스 4-큐비트 칩/패키지 사진 및 양자회로 개념도

세계 최초 8광자 큐비트 집적회로 칩 개발 성공 ETRI, 양자 얽힘 구현한 실리콘 포토닉스 칩 성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8개의 광자를 이용해 양자 얽힘을 구현한 큐비트 집적회로 칩을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ETRI의 양자컴퓨터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 발견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을 관측하며, 기존 스핀트로닉스 연구의 한계를 넘어설 가능성을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이경진·김갑진 교수와 서강대학교 정명화 교수 공동 연구팀이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고 5일 발표했다. 연구

EU 환경규제 넘는 ‘PVDF 대체 배터리 바인더’, 국내서 나왔다

KERI(한국전기연구원) 절연재료연구센터 임현균·강동준 박사팀이 KIST 유정근 박사, 성균관대 김종순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차전지 분야의 ‘숨은 주역’인 바인더 성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이면서 친환경 소재까지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제 저명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됐다.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CCU 기술 개발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만드는 CCU 기술이 개발돼 주목받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이효영 교수 연구팀은 새로운 가시 광촉매를 활용해 이산화탄소와 메탄올로부터 항공유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는 디메톡시메탄(Dimethoxymethane)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CCU 기술은 이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