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폐배터리, 고성능 양극재로 부활… 공융염 활용한 업사이클링 공정 개발

기존 구조 유지하며 NCM811 단결정 양극재 재생… 셀 적용 실험서도 성능 입증

폐배터리, 고성능 양극재로 부활… 공융염 활용한 업사이클링 공정 개발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자료제공=가천대학교 화공생명배터리공학부 윤문수 교수

배터리 재활용이 구조 파괴 없이 고성능 소재로의 전환에 성공하며, 에너지·환경 부담을 동시에 낮추는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한국연구재단은 가천대학교 윤문수 교수 연구팀이 미국 MIT, 중국 칭화대와 공동으로 폐배터리를 고성능 NCM811 단결정 양극재로 재생하는 공융염 기반 준액상 업사이클링 공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다결정 구조의 사용후 양극재를 파괴하지 않고 재결정화해 단결정 니켈 리치 양극소재로 전환하는 새로운 기술을 구현했다. 기존 고에너지 볼밀이나 고온 소성 공정 없이도 공융염(LiOH–LiNO₃–Ni(NO₃)₂·6H₂O) 혼합물을 활용해 입자 간 마찰만으로 수분 내에 준액상 상태를 형성하고, 이 환경에서 선택적 표면 반응을 유도해 이온 확산과 구조 복원을 동시에 실현했다.

이 공정은 단 12분 이내의 혼합만으로 입자 간 접촉을 활성화하고, 손상된 결정 구조를 단결정 수준으로 재배열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 결과 제조된 NCM811 소재는 기존 직접 재활용 방식보다 10% 이상 높은 초기 방전 용량(198 mAh/g)과 87.3%의 초기 쿨롱 효율을 달성했으며, 700mAh 파우치셀 적용 실험에서는 300회 충방전 이후에도 88.1%의 용량을 유지하며 실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윤문수 교수는 “기존 양산 장비로도 구현 가능한 저온 공정이기 때문에 상용화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며 “폐배터리를 고부가가치 소재로 직접 전환할 수 있는 간결하고 확장성 높은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한 우수신진연구 사업의 결과로, 화학 및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에 4월 9일 온라인 게재됐다.

특히 이번 연구는 습식제련 대비 폐수 발생이 적고, 구조 손상 없이 직접 재활용이 가능해 배터리 재활용 공정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수백g 이상 단위에서의 공정 확장, 다양한 폐배터리 조성 대응, 자동화 설계 등이 상용화를 위한 후속 과제로 제시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국내 연구진, 박막 탠덤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차세대 태양광 발전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며 기술 주도권 확보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에서 26.3%의 광발전성능을 구현해, 미국 국립재생에너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ETRI-웨이비스, 질화갈륨 반도체 국산화…국방·위성 핵심부품 자립 길 열어

국내 연구진이 군수용 레이더 및 위성통신용 핵심부품인 질화갈륨(GaN) 반도체 송수신칩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웨이비스와 함께 군용 및 고해상도 영상레이더(SAR)에 탑재되는 GaN 기반 송수신 집적회로(MMIC) 3종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연구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