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AI가 불붙인 패키징 전쟁"… CPO·HBM4, 2026년 상용화 '전환점'

테크인사이츠 "TSMC·엔비디아 CPO 준비 중... 액침 냉각 등 열관리도 핵심"

AI와 고성능 컴퓨팅(HPC) 수요 폭증이 반도체 첨단 패키징 시장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있다. 반도체 산업 정보 플랫폼 테크인사이츠(TechInsights)는 '2026년 반도체 첨단 패키징 전망 보고서'를 통해, CPO(공동 광학 패키징)와 차세대 HBM4 기술이 내년(2026년)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27일 밝혔다.

"AI가 불붙인 패키징 전쟁"… CPO·HBM4, 2026년 상용화 '전환점' - 산업종합저널 전자

가장 주목받는 기술은 CPO다. CPO는 광 송수신 모듈을 칩 근처나 패키지에 직접 통합하는 기술로, 기존 착탈식 트랜시버 방식 대비 전력 효율이 높다. 테크인사이츠는 TSMC, 엔비디아, 브로드컴 등 주요 기업들이 관련 제품 출시를 준비 중이라며 "내년이 CPO 기술 상용화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차세대 3D 패키징 솔루션인 HBM4 역시 핵심이다. 스택 높이가 증가하면서 생산 효율과 적층 공정에서의 수율 관리가 과제로 떠올랐다. 고성능 칩이 대형화됨에 따라 기존 실리콘 기판 대신 안정성과 배선 특성이 우수한 유리 기판으로의 전환, 그리고 생산 효율을 높이는 패널 레벨 패키징 도입도 빨라지고 있다.

3D 적층 기술 확산에 따른 발열 문제는 업계의 공통 과제다. 이에 따라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액침 냉각(liquid cooling), 고성능 열 인터페이스 소재(TIM), 백사이드 파워 딜리버리(backside power delivery) 등 첨단 열 관리 솔루션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이 기술들은 향후 모바일과 가전제품에도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테크인사이츠는 2026년이 이 기술들이 AI·HPC 시장을 넘어 모바일 및 소비자 가전 시장으로 본격 확산되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패키징 기술 경쟁과 설비 투자, 표준화 주도권 확보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국내 연구진, 박막 탠덤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차세대 태양광 발전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며 기술 주도권 확보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에서 26.3%의 광발전성능을 구현해, 미국 국립재생에너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ETRI-웨이비스, 질화갈륨 반도체 국산화…국방·위성 핵심부품 자립 길 열어

국내 연구진이 군수용 레이더 및 위성통신용 핵심부품인 질화갈륨(GaN) 반도체 송수신칩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웨이비스와 함께 군용 및 고해상도 영상레이더(SAR)에 탑재되는 GaN 기반 송수신 집적회로(MMIC) 3종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연구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