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이모저모] 리퀴드쿨링 분야에서 퀵 카플링 전망은?

@IMG2@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열제어 분야가 주목받고 있다. 대부분 데이터 센터, 디지털 송신기, 재생에너지, 전력·전자 분야다.

60여년간 퀵 카플링을 개발 및 생산해 온 CEJN은 압력 저하와 누유를 최소화 하고, 안전과 불필요한 낭비를 없애는 데 주력해 왔다. 늘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책임의식을 갖고, 생산 품질은 물론 설계 단계부터 세밀한 검토를 통해 발전시켜왔다.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왜 리퀴드쿨링(액체냉각)에는 퀵 카플링을 사용해야 하나
퀵 카플링은 출하 전, 완성된 냉각 시스템의 테스트 운전을 훨씬 쉽게 수행 할 수 있다. 시스템에 냉각 액체가 미리 채워져 있으면 현장 설치가 훨씬 빠르고 쉬워진다. 시스템을 보다 더 신속하게 서비스하고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전체 시스템의 전원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 부품 교체 및 수리를 하는 '핫 스왑(Hot Swap)'도 가능하다.

▲왜 고유량에서도 낮은 압력 저하가 중요한가
압력 저하는 리퀴드 쿨링 시스템에 장착된 모든 부품들의 압력저하를 발생시키고 결국 펌프의 압력을 증가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가능한한 낮은 압력저하는 상당히 중요하다. CEJN의 퀵 카플링은 압력 저하 정도가 낮기 때문에 작은 사이즈의 펌프와 냉각액 라인 설치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최초 시스템 설치시 고객들의 투자 비용과 운영비용 부담이 줄어든다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센터의 경우, 마이크로칩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고유량 및 낮은 압력저하 카플링은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프로세서 속도와 안정성을 향상한다. 그 결과 에너지 낭비가 줄어들게 되면서 총 비용이 감소한다. 즉, 시스템을 최적화를 위한 빠른 열 배출에 있어서, 고유량과 낮은 압력 강하 이 두 가지가 핵심 요소다.

누유란
어떤 종류의 전자 제품이든, 100% 논-스필(흘림방지)은 필수다. 논-스필 기능은 낮은 압력 저하, 낮은 온도 등이 형성된 CEJN 연구소에서 테스트 하고 있다. 내구성 테스트 장치에서 제품의 안전성과 성능을 테스트 하고, 전 제품에 대해 출하 전, 누유 테스트와 기능 테스트를 통과해야 한다.

CEJN의 열제어군에는 볼 타입 카플링, 블라인드 메이트 카플링, 멀티 카플링이 있다. CEJN은 냉각 시스템의 무게와 전체 크기를 최소화하는 카플링을 설계한다. 냉각액체와의 호환성을 위해, 다양한 씰링과 함께 아노다이징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황동 외에도 고객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엔지니어 부서에서는 고객의 요구 사항에 따른 신속한 맞춤 제작을 돕고 있다.

이 회사 관계자는 "보다 효율적인 냉각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시중에는 미네랄 오일, 글리콜 워터, 특수 공학적 유체 등 다양한 냉각액이 유통되고 있다. 더 다양하고 효과적인 리퀴드 쿨링을 원한다면, 카플링의 성능에 집중 할 수 밖에 없다"며 "퀵 카플링의 압력저하 정도와 유량, 사이즈 최적화는 시스템 설계의 최초 단계에서 영향을 끼칠 것이고, 운영에 있어서도 최적화를 통해 발생되는 총 비용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3M™ Novec™ Engineered Fluids와 같은 공학적 유체와 호환가능한가
3M의 NOVEC 액체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해 모든 종류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CEJN이 제시할 수 있는 솔루션은 아노다이징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황동 등으로 만들어진 표준 제품들이다. 위험성이 높은 액체 역시 안전한 사용을 돕고 있고, 황산에 대한 솔루션도 마련해 놓은 상태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국내 연구진, 박막 탠덤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차세대 태양광 발전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며 기술 주도권 확보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에서 26.3%의 광발전성능을 구현해, 미국 국립재생에너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AI가 만든 코드, 보안·품질까지 잡았다"… ETRI, '신뢰형 코드 생성 기술' 공개

"로그인 기능을 만들어줘" 같은 자연어 명령만으로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를 생성하는 AI가 보안 취약점, 논리 오류 등 품질 문제를 드러내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AI가 만든 코드의 '신뢰성'까지 보장하는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활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