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
적절한 크기의 튜브를 사용하면 유압 시스템의 성능 뿐만 아니라 비용 측면에서도 효율성이 증대된다.
튜브가 너무 작으면 유체 속도가 증가해 압력 감소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지고, 흡입/석션 (Suction) 라인에서는 펌프 캐비테이션 (Cavitation)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튜브가 너무 크면 불필요한 비용이 증가하고, 좁은 공간에 설치하기가 어렵다.
유압 시스템 성능 극대화를 위한 간단한 튜브 크기 선정 최적화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유량에 따른 직경 설정
첫번째 과제는 필요한 직경을 결정하는 것이다. '권장 직경 계산'표는 특정 유체 속도와 라인 종류에 따른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표 1은 다음 권장 유체 속도를 기준으로 한다.
▲압력 라인-25 ft/sec or 7.62 meters/sec ▲리턴 라인-10 ft/sec or 3.05 meters/sec ▲흡입/석션 라인-4 ft/sec or 1.22 meters/sec
유속이 이와 다를 경우, 아래를 기준으로 필요한 배관 직경을 계산 한다.
표.1 : 권장 배관 직경
배관 외경(O.D)과 두께
배관 직경을 결정한 후에 두번째 과정은 튜브의 외경과 두께를 결정하는 것이다. '압력 등급표'(표.2)를 사용해 아래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구경 및 두께 조합을 찾는다.
권장 설계 압력은 최대 작동 압력과 동일하거나 초과해야 한다.
튜브 내경(I.D)은 앞서 결정된 필요한 유체 직경과 동일하거나 초과해야 하고, 구부러지거나 굴곡진 튜브에 맞는 적절한 벽 두께 선택도 고려해야 한다. 만드릴(Mandril) 없이 구부리는 경우, 튜브 외경의 7% 미만인 튜브 벽 두께는 권장하지 않는다.
표.2의 설계 압력은 '설계 및 정격 감소 계수표”(표.3)에 나열된 A 서비스 등급 (안전계수 4배)를 기준으로 한다.
만약 사용 환경이 매우 혹독한 곳에서 시스템이 운영된다면, 표.2의 압력 등급 값에 적절한 감소 계수를 곱해서 튜브 외경 및 벽 두께의 조합을 결정하면 된다.
압력 등급 유지에 사용되는 허용 가능한 응력 수준과 기본 사양은 '설계 응력 등급표'(표.4)에 있다. 이 값은 완전히 열처리된 튜브가 대상이다.
Lame 방정식 기준 공식화할 수 있는 설계 압력
@IMG10@
최대 작동 압력
설계 계수는 일반적으로 자재의 최대 강도 (또는 튜브 파열 압력)에 적용돼, 자재 내 알 수 없는 요소와 작동 조건에 대한 안전의 마진을 제공한다. 압력 등급표 (표.2)의 값에 표.3에 나열된 감소 계수를 직접 적용해 최대 권장 작동 압력을 결정한다.(표. 2의 값에 감소 계수를 곱해 산출)
온도 고려 사항
서비스 심각도와 별개로, 높은 작동 온도는 튜브의 허용 가능한 작동 압력을 감소시킵니다. 다양한 튜브 자재에 대한 온도 감소 계수는 표.5에 있다.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심각도와 온도에 대한 감소 계수를 설계 압력 값(표에서 확인)에 적용해 최대 권장 작동 압력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316SS 튜브의 서비스 심각도 B (Severe) 등급 및 500°F 온도에 대한 감소 계수 조합은 0.67 × 0.9 = 0.60이다.
자료|파카하니핀 코리아 [정리=김지성 기자]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국내 연구진, 박막 탠덤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차세대 태양광 발전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며 기술 주도권 확보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에서 26.3%의 광발전성능을 구현해, 미국 국립재생에너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AI가 만든 코드, 보안·품질까지 잡았다"… ETRI, '신뢰형 코드 생성 기술' 공개
"로그인 기능을 만들어줘" 같은 자연어 명령만으로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를 생성하는 AI가 보안 취약점, 논리 오류 등 품질 문제를 드러내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AI가 만든 코드의 '신뢰성'까지 보장하는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활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