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의! 스포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x됐다. 그것이 내가 심사숙고 끝에 내린 결론이다”
파격적인 첫 문장으로 시작하는 동명의 소설이 원작인 영화 ‘마션(Martian)'(리들리 스콧 감독, 2015)은 NASA의 화성탐사대원 마크 와트니(맷 데이먼)가 화성에서 홀로 살아남아 지구로 돌아가기 위해 분투하는 과정을 담은 생존기다.
임무 도중 와트니가 죽은 줄로만 안 동료들은 헤르메스 호를 타고 지구 복귀 항로에 오른다. 화성에서 홀로 정신을 차린 와트니는 기지로 돌아와 스스로 부상을 치료한 뒤 살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식물학자인 자신의 특기를 살려 인분을 활용해 기지 내 보관하고 있던 감자의 재배에 성공, 식량을 확보한다. 또한, 과거 화성 탐사를 위해 보냈지만 회수하지 않아 화성 쓰레기로 남은 패스파인더 호를 찾아내 지구와의 교신에도 성공하면서 자신의 생존을 알린다.
지구에 소식이 알려지자 전 세계가 와트니의 귀환을 기도했다. 모두의 이목이 쏠리는 가운데, NASA는 우선적으로 화성에 보급선을 보내기로 하지만, 시일을 앞당기기 위해 안전검사를 건너뛴 것이 문제였는지 보급선은 발사 후 이내 폭발하고 만다.
와트니 또한 지구와 다른 환경일 뿐만 아니라 예측하기 어려운 기상 상황에 기지의 일부와 애써 재배한 감자 농장을 잃으며 연이은 좌절을 맛본다.
그러나 NASA 우주역학팀의 리치 퍼넬(도날드 글로버)이 제안한 아이디어가 빛을 발한다. 헤르메스 호가 지구에 착륙하지 않고 궤도를 변경, 보급품만 도킹해 다시 화성으로 간다면 와트니를 구출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생긴다는 계산이었다. 모든 동료의 만장일치로 리치 퍼넬의 의견이 받아들여지고, 다시 한번 화성 탈출 계획을 세운다.
이 과정에서 중국이 NASA와 손을 잡는다. NASA의 과학자들 또한 와트니가 향후 해야 할 일들을 설명해주며 화성 탈출을 준비한다. 중간에 큰 위기가 또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와트니는 무사히 동료들을 만나 지구로 돌아왔다.
‘마션’은 SF 이야기라는 면에서도 꽤 흥미롭지만, 현실적으로 생각해볼 부분이 많은 영화이기도 하다.
화성에 기지를 구축하고, 사람을 태워 직접 탐사에 나섰다는 내용은 향후 우주산업을 통해 충분히 가능할 전망이다. 이미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수장인 일론 머스크는 2016년에 화성 이주 계획을 대대적으로 발표하기도 했다. 최근 유인탐사 계획을 슬쩍 연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기술 발전이 더 이뤄진다면 언젠가는 화성에서 인류가 살아가는 터전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인상 깊은 부분 중 하나는 식물학자의 위대한 생존능력 같은 것을 꼽을 수도 있겠지만, 한 사람을 구하기 위해 많은 국가와 인력이 모두 협력했다는 점이다.
우주산업은 대대적인 프로젝트이고, 방위산업과도 밀접하게 연관돼 있어 과거에도 국가별 경쟁이 매우 치열했다. 한국 또한 지난 6월 세계에서 7번째로 자체 개발한 누리호 발사체를 쏘아올리는 데 성공하며 우주산업 개발 레이스에 뛰어들었다.
여전히 기술 경쟁이 치열하지만, 사실 우주산업은 그 어떤 산업보다도 기술과 기술 간의 융합, 국가와 국가 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최종적으로 인류가 우주에 발을 내딛고, 더 나아가 우주에 삶의 터전의 일부를 만들기 위해서는 현재에도 우리의 머리 위를 돌고 있는 우주정거장(ISS)의 사례처럼,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또한, 눈에 보이지 않지만, 뿌리산업과 제조업의 중요성도 간과할 수 없다. 작은 부품 하나가 우주선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더더욱 정밀한 계산으로 제조해야 한다.
우주에서 혼자가 아니라 모두가 함께 살아남으려면, 우주라는 미지의 세계 탐사에서 ‘협력’을 우선해야 한다. 와트니를 구조하기 위해 머리를 맞댄 동료 및 지구의 많은 과학기술자처럼 말이다.
jwkim@industryjournal.co.kr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