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기계연, ‘비대면 검체 채취로봇 일체형 고속 전자동 분자진단 시스템’ 개발

기계연, ‘비대면 검체 채취로봇 일체형 고속 전자동 분자진단 시스템’ 개발 - 산업종합저널 로봇

코로나19와 같은 신·변종 감염병 확산 시 의료현장에서 비대면으로 검체 채취부터 진단까지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이 국내 최초로 코로나19 등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해 의료현장에서 비대면으로 검체 채취로봇을 통해 검체를 채취하고, 채취된 검체를 전자동으로 40분 이내 고속으로 분자진단을 완료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신·변종 감염병의 확산을 사전에 예방하고 K-Bio 진단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청신호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계연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의료기계연구실 이동규 책임연구원, 의료로봇연구실 서준호 연구실장 연구팀은 시스템 개발을 위해 기존 기계연이 개발했던 비대면 검체 채취로봇의 검체 채취 기술을 고도화했다. 또한, 고속 분자진단 장비를 연동해 채취된 검체의 유전자 추출 전처리 기술과 고속 유전자증폭 기반 신속 실시간 PCR 기술을 통합해 검체 채취부터 분자 진단까지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기계연, ‘비대면 검체 채취로봇 일체형 고속 전자동 분자진단 시스템’ 개발 - 산업종합저널 로봇

3년째 인류를 괴롭혀오고 있는 코로나19뿐만 아니라 원숭이두창 등 지속적인 신·변종 감염병 발병으로 인해 전 세계가 의료 시스템 붕괴를 경험했다. 전파력이 높은 신·변종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의료현장에서 신속하고 정밀한 분자진단이 필요하지만, 기존에는 대면 검체 채취 및 이송, 분자진단까지 완료하는 과정에 6~12시간이라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됐다.

기존의 분자진단 장비로는 분석결과를 얻기까지 1~2시간 이상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노입자를 이용한 광열 (photothermal) 기반 고속 열주기(thermocycle) 기술, 미세유체를 이용한 고속 열주기 기술 등이 시도됐으나, 실시간 정량분석이 어렵고 칩 소재 제조단가가 높아 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이번에 개발한 검체 채취로봇 일체형 고속 전자동 분자진단 시스템은 소량의 검체만을 반복적으로 가열·냉각해 유전자를 증폭하는 새로운 고속 열주기 기술을 통해 검체 전체를 반복 가열·냉각하는 기존 분자진단 장비 대비 4.2배 빠른 속도로 9~20분 이내 실시간 PCR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연구팀은 병원성 살모넬라 박테리아와 감염성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을 위해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으로 박테리아 DNA와 코로나 바이러스 RNA로 검증을 수행했다. 검체 채취부터 분자진단까지 박테리아 DNA는 25분, 코로나 바이러스 RNA는 40분 이내 분석을 완료했으며, 기존 분자진단 장비와 거의 동일한 분자진단 결과를 얻었다.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비대면으로 검체 채취 후 검체 정량 주입, 유전자 추출 전처리, 고속 분자진단 전 과정에 전자동 진단 기술이 적용돼 현장에서 비숙련자도 쉽게 사용 가능하다. 이를 선별진료소, 공항, 응급환경 등 의료현장에서 활용할 경우 신·변종 감염병 확산을 신속하게 사전 예방할 수 있다.

이동규 책임연구원은 “비대면 검체 채취로봇 통합 고속 전자동 분자진단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신·변종 감염병의 확산을 예방하고, 의료진을 보호하며, 국민의 건강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며 “의료기관 및 산업계와 협력해 K-Bio 기술의 글로벌화, 신·변종 감염병 확산방지 및 국민의 건강한 삶을 지키기 위한 연구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차세대 리튬황배터리 난제 풀었다

국내 연구진이 배터리 성능 저하 주범 ‘리튬 폴리설파이드’ 문제를 활성탄과 인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박준우 박사팀(KERI 박준우 박사· 홍정원 연구원, 부경대 백강준 교수)의 ‘저비용 플렉시블 고에너지밀도 리튬황배터리’ 관련 연

국산 가스터빈용 30% 수소혼소 연소기 개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국산 가스터빈용 친환경 연소기가 개발돼, 현장 실증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LNG발전에 활용하는 가스터빈용 수소 혼소 연소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기계연 탄소중립기계연구소 무탄소연료발전연구실 김

물 속 미세플라스틱 제거 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과 공동으로 물 속 마이크로(㎛)~나노미터(㎚)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친환경 미세플라스틱 제거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은 지름이 5㎜ 미만인 플라스틱 입자로, 처음부터 작게 만들어진 ‘1차 미세플라스틱’과 잘

고출력 태양광 패널 개발…2023년부터 양산 돌입

국내 연구팀이 도심형 고출력 태양광 패널 제조기술을 개발 후 기술이전을 통해 상용화하는데 성공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서남본부 정채환 본부장 연구팀이 ‘길이·폭 제어형 슁글드(Deginable Shingled) 구조의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건물일체형 태양모듈)

홀로그램 시장 견인할 소재 기술 공개

국내 연구진이 자동차용 홀로그래픽 HUD(Head-Up Display, 헤드-업 디스플레이) 확장현실(XR) 스마트 글라스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기대되는 홀로그램 기록 소재를 공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 가재원 박사 연구팀과 경북대학교 김학린 교수 연구팀은 최근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 광역학 메커니즘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