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차세대전지연구센터 하윤철 박사팀, ‘고체전해질 입도 제어 기술’ 개발

차세대전지연구센터 하윤철 박사팀, ‘고체전해질 입도 제어 기술’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기
사진 안이 KERI 하윤철 박사

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하윤철 박사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했다.

‘용매 치환 기반 고체전해질(황화물계) 입도 제어 기술’ 관련 연구결과가 우수한 평가를 받아 국제 저명 학술지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전고체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낮은 고체로 대체한 것이다.

고체전해질이 전고체전지에 활용되려면 입자 크기가 머리카락 굵기의 100분의 1에 해당하는 1㎛(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매우 작아야 한다. 현재는 소량의 고체전해질 분말과 볼(ball)을 무극성 용매와 함께 용기에 넣고, 고속으로 장시간 회전시켜 입도를 작게 만드는 ‘습식 볼 밀링(milling)’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이온 전도도 손실이 크게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했다.

공기를 기계적으로 주입하는 ‘에어젯 밀링’ 방식도 있지만 산소에 노출되면 열화가 크게 일어나는 고체전해질의 특성 때문에 질소나 아르곤의 압축/순환/회수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KERI는 ‘용매 치환’이라는 방식을 활용했다. 먼저, 입도 조절이 필요한 고체전해질 분말(원료)을 알코올과 같은 극성 용매(polar solvent)에 섞어 용해시킨다. 다음으로 이 용액을 극성 용매의 끓는점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된 무극성 용매에 주입한다. 온도 차이로 인해 극성 용매는 순간적으로 증발이 되고 고체전해질은 재결정화되어 입자 크기가 작아진다.

연구팀은 다수의 실증을 통해 용매 치환으로 고체전해질 입자 크기가 8㎛에서 0.8㎛수준(1/10 수준)으로 작아지더라도 이온 전도도를 85%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 또한 극성 용매의 주입 속도와 노즐 크기, 무극성 용매의 온도 및 혼합 속도 등 공정 조건을 조절하면서 재결정화되는 고체전해질의 입도와 순도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관련 연구결과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에너지·연료(Energy & Fuels) 분야 저널인용지표(JCR) 상위 약 8% 국제 논문인 ‘저널 오브 머터리얼즈 케미스트리 에이(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IF: 14.511)’의 제10권 48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KERI 하윤철 박사는 “용매 치환을 통한 입도 제어 기술은 고체전해질의 실질적 활용에 가장 필요한 초미세화 및 높은 이온 전도성 보유, 저가격화를 실현할 것”이라고 밝히며 “기업체 기술이전을 통해 제조 공정의 스케일업(scale-up)을 추진하고, 전고체전지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며 목표를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준이차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재 개발

가볍고 유연할 뿐만 아니라 성능 면에서도 기존의 상용화된 실리콘 기반의 태양전지와 비슷한 수준의 단위소자 효율을 보이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위해선 고효율뿐만 아니라 장기안정성을 확보하는 것

차세대 신소재 ‘맥신’, 표면처리 기술로 상용화 앞당기나

한국교통대학교(이하 교통대) 환경에너지 연구실이 '2023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대전(CoMPEX KOREA 2023, 이하 컴펙스 코리아)'에서 차세대 신소재 ‘맥신(MXene)’ 연구 현황을 소개했다. 맥신은 전기 전도도, 전자파 차폐 특성이 우수한 2차원 나노 소재다. 2차 전지의 전도성 물질을 대체

스마트안전관리 선보인 포스코이앤씨, “중대재해만큼은 막는다”

포스코이앤씨(이하 포스코)가 14일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 중인 '대한민국 안전산업 박람회(K-SAFETY EXPO, 이하 전시회)'에서 크레인 안전 솔루션, 8D BIM 등 스마트 안전관리 기술을 선보였다. 크레인 안전 솔루션은 크레인 작업의 사고를 예방하는 기술이다. 건설 현장 크레인은 100m 이상에서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

유기 분자·무기 원소, 중심 금속 그리고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고 이온 결정 구조를 가지는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는 현재 디스플레이 소재로 사용되는 양자점 (Quantum dot) 혹은 유기 발광소재와 비교해 제작 비용이 낮다. 색상 조절도 쉽고, 색순도가 뛰어나 차세대 디스플레이

하나의 앱에서 모든 서비스 이용...“메가트랜드, 슈퍼앱”

IT컨퍼러스 ‘AWS Summit Seoul’의 메가트랜드 트랙에서 ‘비즈니스 경계를 허무는 혁신: 단 하나의 선택, 슈퍼앱’이라는 주제의 강연에서 메가트랜드로 손꼽히는 ‘슈퍼앱’이 소개됐다. AWS 전유성 솔루션즈 아키텍트, 이성준 KB국민은행 금융플랫폼 본부장, 조문옥 컬리페이(Kurly Pay)C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