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스마트폰·노트북 배터리 성능 향상 ‘리튬이온배터리 전극 설계’ 세계 최초 개발

기계연, 전기차?전자기기 배터리 성능 및 수명 향상 기대

스마트폰·노트북 배터리 성능 향상 ‘리튬이온배터리 전극 설계’ 세계 최초 개발 - 산업종합저널 기계
파우치 형태의 이중층 음극 배터리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전자기기나 전기자동차 등에 활용하는 배터리의 성능과 안정성을 크게 높이는 배터리 전극 설계・공정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 나노역학장비연구실 현승민 책임연구원, 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 이하 성균관대) 이후정 교수 공동 연구팀은 리튬이온배터리의 신뢰성과 성능을 높이는 새로운 배터리 전극(음극) 구조를 개발하고, 관련 연구성과를 유수의 저널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IF: 19.924)에 발표했다.

기계연과 성균관대 공동연구팀은 리튬이온배터리의 전극이 두꺼워도 고성능·고신뢰성을 유지하는 디자인 및 공정기술 개발을 위해 음극을 이중층으로 구성하고, 이온 전도성과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작은 소재가 용량이 큰 소재 사이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요철형태로 설계했다.

스마트폰·노트북 배터리 성능 향상 ‘리튬이온배터리 전극 설계’ 세계 최초 개발 - 산업종합저널 기계
요철 형태로 제작된 이중층 구조의 전극(음극)

일반적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전극은 슬러리를 전극 전체에 골고루 배치할 수 있도록 코팅하여 건조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에, 슬러리의 균일도가 배터리의 성능을 좌우하며, 전극이 두꺼워질수록 에너지 밀도와 균일도가 낮아져, 고출력 환경에서 성능을 유지하기 어려웠다.

반면, 이번에 개발된 배터리의 음극 구조는 전극이 두꺼워져도 전극 전체가 높은 에너지 밀도를 유지하면서 균일한 반응 안정성을 가질 수 있어, 성능과 수명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된다.

기계연 현승민 책임연구원은 “기존의 리튬이온배터리 소재와 공정을 활용하면서도 새 디자인 설계를 적용해 배터리의 성능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방법”이라며 “상용 스마트폰,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기는 물론 고출력 환경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가 요구되는 전기자동차 및 소프트로봇에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및 기계연 기본사업 ‘나노기반 옴니텍스(Omni-TEX) 제조 기술 개발’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차세대 리튬황배터리 난제 풀었다

국내 연구진이 배터리 성능 저하 주범 ‘리튬 폴리설파이드’ 문제를 활성탄과 인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박준우 박사팀(KERI 박준우 박사· 홍정원 연구원, 부경대 백강준 교수)의 ‘저비용 플렉시블 고에너지밀도 리튬황배터리’ 관련 연

국산 가스터빈용 30% 수소혼소 연소기 개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국산 가스터빈용 친환경 연소기가 개발돼, 현장 실증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LNG발전에 활용하는 가스터빈용 수소 혼소 연소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기계연 탄소중립기계연구소 무탄소연료발전연구실 김

물 속 미세플라스틱 제거 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과 공동으로 물 속 마이크로(㎛)~나노미터(㎚)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친환경 미세플라스틱 제거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은 지름이 5㎜ 미만인 플라스틱 입자로, 처음부터 작게 만들어진 ‘1차 미세플라스틱’과 잘

고출력 태양광 패널 개발…2023년부터 양산 돌입

국내 연구팀이 도심형 고출력 태양광 패널 제조기술을 개발 후 기술이전을 통해 상용화하는데 성공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서남본부 정채환 본부장 연구팀이 ‘길이·폭 제어형 슁글드(Deginable Shingled) 구조의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건물일체형 태양모듈)

홀로그램 시장 견인할 소재 기술 공개

국내 연구진이 자동차용 홀로그래픽 HUD(Head-Up Display, 헤드-업 디스플레이) 확장현실(XR) 스마트 글라스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기대되는 홀로그램 기록 소재를 공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 가재원 박사 연구팀과 경북대학교 김학린 교수 연구팀은 최근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 광역학 메커니즘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