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차세대 신소재 ‘맥신’, 표면처리 기술로 상용화 앞당기나

그래핀보다 가볍고 전도도 높은 신소재 맥신…산화, 용매분산 해결 연구 중

차세대 신소재 ‘맥신’, 표면처리 기술로 상용화 앞당기나 - 산업종합저널 소재

한국교통대학교(이하 교통대) 환경에너지 연구실이 '2023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대전(CoMPEX KOREA 2023, 이하 컴펙스 코리아)'에서 차세대 신소재 ‘맥신(MXene)’ 연구 현황을 소개했다.

맥신은 전기 전도도, 전자파 차폐 특성이 우수한 2차원 나노 소재다. 2차 전지의 전도성 물질을 대체하거나, 반도체 칩 등 전자 부품의 전자파 간섭을 차단하는 등 산업계 응용 분야가 다양하다.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용화는 아직 어렵다. 산업계에 응용하려면 다양한 유기용매와 융합해야 하지만, 맥신은 친수성 표면으로 물에만 분산된다. 더구나 수용액 속에서 빠르게 산화되는 특성도 있다. 본래의 전기전도도를 금방 잃어버리는 것이다.
차세대 신소재 ‘맥신’, 표면처리 기술로 상용화 앞당기나 - 산업종합저널 소재
맥신 유기용액

교통대 화학산업연구소는 표면처리 기술로 해결책을 찾았다. 표면처리로 맥신 입자에 소수성을 부여하고, 유기 용매에 분산시킬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제조한 맥신 유기용액은 물과 산소가 적어 잘 산화되지 않는다.

박영호 교통대 화학산업연구소 연구교수는 “맥신은 그래핀보다 전도도가 10배 높은 신소재지만, 상용화하려면 산화‧용매분산 문제를 꼭 해결해야 한다”면서, “표면처리 기술로 맥신을 필요한 용매에 녹일 수 있게 된다”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한편, 지난달 28일 폐막한 컴펙스 코리아는 소부장 산업 중소기업의 성과와 미래 전략을 제시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실리콘 포토닉스 4-큐비트 칩/패키지 사진 및 양자회로 개념도

세계 최초 8광자 큐비트 집적회로 칩 개발 성공 ETRI, 양자 얽힘 구현한 실리콘 포토닉스 칩 성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8개의 광자를 이용해 양자 얽힘을 구현한 큐비트 집적회로 칩을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ETRI의 양자컴퓨터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 발견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을 관측하며, 기존 스핀트로닉스 연구의 한계를 넘어설 가능성을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이경진·김갑진 교수와 서강대학교 정명화 교수 공동 연구팀이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고 5일 발표했다. 연구

EU 환경규제 넘는 ‘PVDF 대체 배터리 바인더’, 국내서 나왔다

KERI(한국전기연구원) 절연재료연구센터 임현균·강동준 박사팀이 KIST 유정근 박사, 성균관대 김종순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차전지 분야의 ‘숨은 주역’인 바인더 성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이면서 친환경 소재까지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제 저명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됐다.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