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얇고 유연한 전고체배터리 핵심기술 개발 성공

기존 방법 대비 10배 얇고 모노셀 에너지밀도 6배 높여

얇고 유연한 전고체배터리 핵심기술 개발 성공 - 산업종합저널 전기
전고체 배터리용 박형 고체 전해질막을 개발한 ETRI 연구진(좌측부터 박영삼 책임연구원, 강석훈 선임연구원, 윤석윤 UST학생연구원, 최재철 선임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이차전지로 알려진 전고체배터리를 위한 고체 전해질막 개발에 성공했다. 성능이 높은 전고체배터리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과 고분자 직물 지지체를 활용해 기존 펠릿(전고체 전해질 입자를 압축해 만들어진 작은 조각) 형태 대비 10배 이상 얇고 에너지밀도는 6배 증가한 고체 전해질막 개발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전고체배터리는 배터리의 핵심구성요소인 전해질을 기존 액체 형태에서 고체 형태로 대체한 전지다. 가연성의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함으로써 누출이나 화재로 인한 위험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기존 전고체배터리 연구에서는 고체 전해질 입자에 압력을 가하거나, 소결(가루나 가루를 압축한 덩어리를 녹는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했을 때, 가루가 녹으면서 서로 밀착하며 합쳐지는 현상)하는 공정을 거쳐 수백 마이크로미터(μm) 두께의 펠릿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얇고 유연한 전고체배터리 핵심기술 개발 성공 - 산업종합저널 전기
유연한 전고체 배터리의 고체 전해질막

하지만 고체 전해질 펠릿은 깨지기 쉬운 성질이 있어, 이를 적용한 배터리 셀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어렵고, 두께가 두꺼워져 셀의 에너지밀도가 기대와는 달리 오히려 낮아지는 한계가 있어 상용화에 걸림돌이 돼 왔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ETRI 연구진은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갖는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고분자 직물 지지체를 활용해 얇은 고체 전해질막을 개발하는 데에 성공했다. 또한, 대면적화가 용이한 습식공정 기술을 개발, 우수한 성능과 동기에 기계적 강도, 유연성까지 확보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고체 전해질은 기존 펠릿 형태의 고체 전해질 대비 두께가 10배 이상 감소하고 이온전도 특성은 2배 증가했다. 이에 따라 ETRI의 고체 전해질이 적용된 모노 셀 최소 단위의 출력 특성은 20% 향상됐을 뿐만 아니라, 부피당 에너지밀도도 기존 대비 6배가 증가했다.

또한, 고온 노출 시험과 고전압 시험 등을 통해 ETRI 전고체배터리의 우수한 안정성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ETRI는 높은 용량을 가지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유연하게 다변화할 수 있는 차세대 전고체배터리의 상용화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ETRI 강석훈 선임연구원은 “그동안 고체 전해질을 최종 셀에 적용하는 데에 공정적 한계가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고체 전해질막은 적용된 배터리 셀의 에너지밀도를 획기적으로 높여 전고체배터리의 상용화 가능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 책임자인 ETRI 이영기 스마트소재연구실장은“기존의 딱딱하고 두껍고 작은 면적의 펠릿형 또는 두꺼운 시트형 고체 전해질을, 얇은 두께와 유연성을 가지는 막(Membrane)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기존 펠릿형 전고체배터리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했다”라고 밝혔다.

ETRI 연구진은 이번 연구개발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재의 지지체 구조를 확대 적용하는 한편, 고체 전해질막의 추가 이온전도 특성 향상 및 분리막 수준의 박막화를 통해 기존 전지 셀 제조방식에 호환이 가능한 고체 전해질막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지원을 받아 '리튬기반 차세대 이차전지 성능고도화 및 제조기술 개발'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준이차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재 개발

가볍고 유연할 뿐만 아니라 성능 면에서도 기존의 상용화된 실리콘 기반의 태양전지와 비슷한 수준의 단위소자 효율을 보이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위해선 고효율뿐만 아니라 장기안정성을 확보하는 것

실리콘 및 구리 단점 그래핀으로 해결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재료연구본부의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 및 전장부품용 금속/그래핀 복합전극 개발’ 성과가 올해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올랐다. 한국전기연구원은 9일 한국100선 중에서도 12개 성과만 뽑히는 최우수(기계·소재 부문)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차세대 E-모빌

첨단 화학산업 공정 효율성 높이는 나노촉매

원자 단위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은 인간의 눈으로는 관찰 할 수 없는 미시의 세계다. 측정조차 어려운 찰나에 이뤄지기 때문에 그 원리와 과정을 알기 어렵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입자의 모양, 움직임, 결합력, 안정성 등을 수학방정식으로 표현하고,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는

차세대 신소재 ‘맥신’, 표면처리 기술로 상용화 앞당기나

한국교통대학교(이하 교통대) 환경에너지 연구실이 '2023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대전(CoMPEX KOREA 2023, 이하 컴펙스 코리아)'에서 차세대 신소재 ‘맥신(MXene)’ 연구 현황을 소개했다. 맥신은 전기 전도도, 전자파 차폐 특성이 우수한 2차원 나노 소재다. 2차 전지의 전도성 물질을 대체

국산 가스터빈용 30% 수소혼소 연소기 개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국산 가스터빈용 친환경 연소기가 개발돼, 현장 실증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LNG발전에 활용하는 가스터빈용 수소 혼소 연소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기계연 탄소중립기계연구소 무탄소연료발전연구실 김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