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주 4일 근무제, AI가 ‘키잡이’ 되나

업무효율 향상으로 근무시간 단축 가능하지만, 기업·경영진의 의지도 중요해

주 4일 근무제, AI가 ‘키잡이’ 되나 - 산업종합저널 동향
Microsoft Copilot을 통해 생성한 이미지

사회 변혁을 이끌고 있는 AI(인공지능)가 주 4일 근무제를 촉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내놓은 ‘SPRi AI Brief 2024년 4월호’ 보고서는 주 4일 근무제를 시행하는 기업의 상당수가 기업 운영에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고 AI 동향을 종합했다.

보고서는 영국 BBC의 지난 2월 보도를 인용해 AI가 노동현장에 적용되면서 주 4일 근무제 도입 사례가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라고 전했다.

영국, 아이슬란드. 포르투갈 등 여러 국가에서는 긍정적인 시범 운영결과를 토대로 주 4일제 도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독일은 최근 기업 45곳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하며 노동 현장에 도입되고 있는 AI 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작년 영국의 뉴스·행사정보 기업 테크.코(tech.co)가 수집한 자료를 살펴보면, 미국 기업 리더 천명 중 주4일제 조직의 29%는 회사 운영에 AI를 광범위하게 활용했다. 반면 주 5일제 회사는 8%만 AI가 도입됐다.

또, AI 사용 기업의 93%는 주 4일제에 개방적이었고 AI를 사용하지 않는 기업에서는 절반 이하만 주 4일제를 개방적으로 생각한다고 조사됐다.

영국 채용 기업 테크넷 IT 리크루먼트(TechNET IT Recruitment)는 주 4일 근무제 성공 기반으로 AI를 통한 업무 자동화를 꼽으며, 채용 컨설턴트 1인당 근무시간이 주당 21시간씩 감소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보고서는 노동전문가들이 AI의 주 4일 근무제 확산 촉진 전망과 함께, AI가 기틀을 마련할 수는 있으나 개방적이고 실험적인 사고방식과 신뢰 기반의 조직문화도 중요한 요소로 지목했다고 해설했다.

주 4일 근무제 도입은 기업의 추구 목적과 가치, 경영진 의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일부 기업은 AI 업무 자동화로 생긴 여유시간에 다른 업무를 맡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JP모건 체스의 제이미 다이먼(Jamie Dimon)CEO가 2023년 10월 인터뷰에서 ‘여러분의 자녀는 100세까지 살면서 주당 3.5일 일할 것’이라고 발언했다며, 일부 이견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기업 리더를 비롯한 다수의 경영진은 AI를 비롯한 신기술을 통한 근무시간 감소를 노동의 미래로 전망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지난 10일 치러진 ‘제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도 주 4일제 또는 주 4.5일제가 공약으로 제시되며 한국 사회에서도 주 4일 근무제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과 논의가 필요한 시기라는 점이 시사되기도 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기술의 진화와 미래, 공존하는 '기회'와 '우려'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 영향력은 산업, 의료, 교육, 금융 등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있으며, AI를 활용한 자동화와 데이터 분석 기술이 많은 일상적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AI의 발전이 가져올 미래에는 기대와 함께 우려도 존재한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2027년까지 전력 부족 위기 예상

AI와 생성형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2027년까지 일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트너는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전력 비용 인상과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대한민국 제조업, 인공지능(AI) 자율제조로 혁신

산업통상자원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제조업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인구구조 변화, 탄소 감축 등 현안 문제를 해결할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산업부는 28일 안덕근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협약식'을 열고, 현대자동차, GS칼텍스, 삼성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