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기계연, 해수 기반 자가충전 에너지 하베스터 개발

기존 기술 대비 4.2배 전력 생산…바다 환경 모니터링 장치 등 소형 기기 활용 기대

바닷물에 포함된 나트륨 이온의 이동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생성하는 '에너지 하베스터'가 개발됐다. 이 기술은 물 기반 에너지 생산과 친환경 에너지 기술 개발 분야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기계연, 해수 기반 자가충전 에너지 하베스터 개발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융합연구본부 나노디스플레이연구실 현승민 책임연구원(오른쪽) 연구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융합연구본부의 현승민 책임연구원과 소혜미 선임연구원, 경북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정수환 교수팀은 해수의 이온 이동을 활용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자가충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에너지 하베스터는 산소 기능기 함량이 다른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산화 그래핀 필름을 각각 양극과 음극으로 사용하고, 바닷물을 전해질로 활용한다. 전해질 내 양이온들이 산소 기능기가 많은 음극 쪽에 집중되면서, 두 전극 사이의 이온 재배열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는 원리다.

기존의 물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는 전환 효율이 낮고, 지속적인 재사용을 위해서는 물의 움직임을 발생시켜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외부 에너지 투입이 불가능한 환경에서는 사용이 제한됐다.
기계연, 해수 기반 자가충전 에너지 하베스터 개발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현승민 책임연구원(오른쪽) 연구팀이 해수 기반의 에너지 하베스터 성능 측정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외부 에너지를 투입하지 않고도 방전 후 초기 전압을 회복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 이 기술은 바다와 같은 외부 에너지 공급이 어려운 환경에서 센서나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개발된 에너지 하베스터는 24.6 mW/cm³의 전력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이온 하이드로겔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5.9 mW/cm³)보다 약 4.2배 높은 수치다. 이 정도 전력은 계산기, 시계, 센서와 같은 소형 기기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장치를 연결하거나 면적을 확장해 더 많은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현승민 책임연구원은 “이번 기술은 외부 에너지를 투입하지 않고도 지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 하베스터로, 바다에서 환경 모니터링이 필요한 센서와 장치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친환경 분해가능 배터리 개발 및 특성 평가'와 기계연의 '나노기반 옴니텍스(Omni-TEX) 제조 기술 개발'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케미칼 엔지니어링 저널(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게재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국내 연구진, 박막 탠덤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차세대 태양광 발전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며 기술 주도권 확보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에서 26.3%의 광발전성능을 구현해, 미국 국립재생에너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AI가 만든 코드, 보안·품질까지 잡았다"… ETRI, '신뢰형 코드 생성 기술' 공개

"로그인 기능을 만들어줘" 같은 자연어 명령만으로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를 생성하는 AI가 보안 취약점, 논리 오류 등 품질 문제를 드러내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AI가 만든 코드의 '신뢰성'까지 보장하는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활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