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표재연 박사팀, 빛으로 나노미터급 미세유리관 접촉 판별 기술 개발

제조기술·생명공학 혁신 기대… 미세유리관 접촉 여부, 빛으로 간편하게 판별

표재연 박사팀, 빛으로 나노미터급 미세유리관 접촉 판별 기술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기
빛으로 나노미터급 영역에서의 미세유리관 접촉 여부를 판별하는 기술을 개발한 KERI 표재연(앞줄 왼쪽) 박사팀

한국전기연구원(KERI) 스마트3D프린팅연구팀의 표재연 박사팀이 빛을 이용해 나노미터급 미세유리관의 접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제조기술과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미세유리관은 유리관의 끝단을 직경 0.1mm~0.000010mm로 가공한 정밀기구로, 주로 생명공학, 미세 전기도금, 나노 3D프린팅 등에서 핵심 도구로 사용된다. 생명공학에서는 세포의 연구나 시험관 아기 시술 과정에서 난자에 정자를 주입할 때 사용되며, 전기도금 분야에서는 정밀 전자회로 및 미세 구조물 제작에 활용된다. 또한, 미세유리관을 3D프린팅 노즐로 활용하면 초미세 구조물을 3차원으로 인쇄할 수 있다.

미세유리관을 활용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점은 유리관 끝단의 접촉을 정밀하게 구현해 유리관의 손상이나 대상 물체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광학현미경으로 접촉 여부를 확인했으나, 나노미터급의 초미세유리관은 해상도 한계로 인해 정확한 접촉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전류나 진동을 이용한 방식도 있으나, 재료의 제한이나 결과의 변동성 등의 문제가 있었다.

표재연 박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빛을 이용한 접촉 판별 방식을 도입했다. 빛을 미세유리관에 비추면 빛은 유리관을 타고 끝단까지 전달되는데, 유리관 끝단이 물체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선명한 빛이 유지되고, 접촉하는 순간 빛이 사라지게 된다. 이 방식은 전등 하나만으로 광학현미경 해상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 매우 간단하면서도 나노미터급 영역에서의 접촉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다양한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접촉 시 빛이 끝단에서 산란되지 않고 접촉한 물체로 전달되는 현상을 물리적으로 규명했다. 또한, 나노 3D프린팅 공정, 미세 구리 전기도금 공정, 구강상피세포의 세포벽 침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세유리관의 접촉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하며 기술의 활용성을 검증했다.

표재연 박사팀, 빛으로 나노미터급 미세유리관 접촉 판별 기술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기
빛으로 나노미터급 영역에서의 미세유리관 접촉을 판별하는 KERI 기술의 원리 및 활용 분야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발행하는 나노과학 분야의 최상위급 SCI 학술지인 ‘ACS Nano’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이 학술지는 JCR Impact Factor 15.8로, 해당 분야에서 상위 5.9%에 속하는 권위 있는 저널이다.

표재연 박사는 “기존의 나노 3D프린팅 공정이 물리적 한계에 직면해 인쇄 해상도와 안정성 향상을 위해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했다”며 “광물리 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세유리관을 접촉 판별 도구로 활용하는 아이디어를 고안해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표재연 박사팀, 빛으로 나노미터급 미세유리관 접촉 판별 기술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기
표재연 박사가 빛으로 나노미터급 영역에서의 미세유리관 접촉을 판별하고 있다.

이번 기술의 원천 특허도 이미 출원한 KERI는 이번 성과가 3D프린팅, 디스플레이, 생명공학, 전기도금, 반도체 등 초정밀 공정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료나 환경의 제약 없이 전등 하나만으로도 구현할 수 있는 간편한 기술인 만큼, 적용 범위가 매우 넓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표 박사팀은 향후 더 많은 산업 분야에서 기술의 활용성을 직접 시현하고, 수요기업을 발굴해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

유기 분자·무기 원소, 중심 금속 그리고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고 이온 결정 구조를 가지는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는 현재 디스플레이 소재로 사용되는 양자점 (Quantum dot) 혹은 유기 발광소재와 비교해 제작 비용이 낮다. 색상 조절도 쉽고, 색순도가 뛰어나 차세대 디스플레이

신경봉합술 가능한 피부 모사 접착 패치 개발

교통사고나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영유아들이 문틈 등에 끼어 손가락이나 인체 일부가 절단되는 외상성 절단 사고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외상성 절단 환자의 조직 재건을 위해서는 수술을 통해 뼈, 신경, 혈관 등 다양한 조직을 연결하는 봉합술이 요구된다. 절단 조직의

인공지능으로 복잡한 대사 과정 풀어

미생물 성장의 핵심 대사반응(metabolic reaction)을 규명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윤성호 교수(건국대학교) 연구팀이 인공지능과 가상세포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영양 조건에서 미생물 성장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대사반응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실리콘 포토닉스 4-큐비트 칩/패키지 사진 및 양자회로 개념도

세계 최초 8광자 큐비트 집적회로 칩 개발 성공 ETRI, 양자 얽힘 구현한 실리콘 포토닉스 칩 성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8개의 광자를 이용해 양자 얽힘을 구현한 큐비트 집적회로 칩을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ETRI의 양자컴퓨터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CCU 기술 개발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만드는 CCU 기술이 개발돼 주목받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이효영 교수 연구팀은 새로운 가시 광촉매를 활용해 이산화탄소와 메탄올로부터 항공유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는 디메톡시메탄(Dimethoxymethane)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CCU 기술은 이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