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국제 안전·보안 커뮤니케이션 전시회 ‘PMRExpo 2024’ 독일 쾰른서 개최

국내 업체 유니모테크놀로지와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 쏠리드 등 참가

국제 안전·보안 커뮤니케이션 전시회 ‘PMRExpo 2024’ 독일 쾰른서 개최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국제 안전∙보안 커뮤니케이션 전시회 ‘PMRExpo 2024’가 이달 26일부터 28일까지 독일 쾰른에서 열린다. PMRExpo는 통신 보안 분야 전반을 아우르며, 통합보안시스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망 등 인프라와 IoT 기반의 사이버 보안 기술과 서비스를 선보이는 자리다. 전시 기간 중 컨퍼런스와 패널 토론을 통해 산업 동향과 최신 기술이 다각적으로 분석될 예정이다.
국제 안전·보안 커뮤니케이션 전시회 ‘PMRExpo 2024’ 독일 쾰른서 개최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국내에서는 무선통신기기 제조업체 유니모테크놀로지와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 쏠리드가 참가한다. 유니모테크놀로지는 DMR과 테트라(TETRA) 무전기를 전시하며, 쏠리드는 5G 통신망 기술을 기반으로 의료시설, 호텔, 캠퍼스, 경기장 등에서 구축 가능한 효율적인 통신 솔루션을 제안할 계획이다.
국제 안전·보안 커뮤니케이션 전시회 ‘PMRExpo 2024’ 독일 쾰른서 개최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5G 특화망과 기본 인프라 회복력 강화
PMRExpo 2024는 올해 처음으로 프라이빗 5G 특화망을 조명한다. ‘5G-Hub for Private Networks’ 특별관에서는 프라이빗 5G 활용 사례가 소개되며, 전시 첫날에는 경제, 과학, 공공 행정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5G 인프라 운영, 정부 규제, 통신 서비스 협력 등을 주제로 컨퍼런스가 진행된다.

기반 인프라의 복구력 강화와 AI 솔루션 체험
기반 인프라의 복구력 강화도 주요 의제로 다뤄진다. 에너지, 교통, 공공 서비스 분야의 중요 인프라 보안과 복구 체계는 이번 행사에서 핵심 현안으로 논의한다.
국제 안전·보안 커뮤니케이션 전시회 ‘PMRExpo 2024’ 독일 쾰른서 개최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마지막 날에는 AI를 활용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패널 토론이 열리며, AI 전문 기업 코레바스(Corevas)가 주최하는 체험 행사 ‘Hackathon@PMRExpo’도 이어진다. 이 행사는 위기 커뮤니케이션 과제를 AI 응용 프로그램으로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하며, 참가자들은 5G, 중앙 통제 센터, IoT 등을 활용한 위기관리 상황에서 최신 기술을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CHINAPLAS 2025, 글로벌 바이어 이끄는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혁신 플랫폼

CHINAPLAS 2025가 내년 4월 15일부터 18일까지 중국 선전의 세계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차이나플라스는 중국의 경제 전략인 ‘이중 순환’을 반영해 내수와 국제 교역을 아우르는 중요한 플랫폼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목표를 내세웠다. 세계

올해 3분기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6%↑

올해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및 소비자 제품 수요가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한 가운데, 자동차 및 산업용 웨이퍼 수요는 둔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SEMI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모바일PC 시장용 OLED 2031년까지 연평균 37% 성장 전망

옴디아(Omdia)의 디스플레이 장기 수요 예측 트래커에 따르면 모바일 PC의 OLED 디스플레이 수요는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연평균 3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많은 기업들이 프리미엄 노트북과 태블릿에 OLED 패널을 점점 더 많이 적용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한다. 2022년과 2023년

[국제동향] 제조업의 미래 '스마트 팩토리로 디지털 전환'

지난 한 주간 제조업 분야에서는 디지털 전환의 일환으로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 해외 매체들은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대한 내용을 앞다투어 보도했다. 미국의 제조 기업인 GE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해 생산성을 20% 향상 시켰다고 발표했다. GE는 자사의 항공

올해 OLED 소재 시장 성장 재개, 20억 달러 초과 예상

OLED 소재 시장은 2021년까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OLED 확장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2022년에는 처음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시장 조사 기관 옴디아(Omdi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OLED 소재 시장이 최근 몇 년간의 침체기를 벗어나 성장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