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1분기 전년 대비 2.2% 증가

300mm 수요는 확대, 레거시 디바이스용 웨이퍼는 감소세 지속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1분기 전년 대비 2.2% 증가 - 산업종합저널 전자

올해 1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첨단 공정 수요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지만, 전 분기 대비로는 계절적 요인과 재고 조정 영향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반도체 공급망 전문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 실리콘 웨이퍼 총 출하량은 28억9천600만 제곱인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증가했다. 반면, 전 분기인 2024년 4분기와 비교하면 9.0% 줄어든 수치다.

SEMI 산하 실리콘 제조 그룹(Silicon Manufacturers' Group, SMG)의 의장 리 청웨이(李崇偉)는 “전년 동기와 비교할 때 300mm 웨이퍼 출하량은 6% 증가했으나, 200mm 이하 직경의 웨이퍼는 감소했다”며 “이는 첨단 공정 중심의 수요 회복과 달리 레거시 디바이스 수요가 여전히 약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공급망 전반에서 이뤄진 재고 조정 역시 단기 출하량 둔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실리콘 웨이퍼는 반도체 제조의 핵심 원재료로, 컴퓨터, 스마트폰, 통신장비, 소비가전 등 전자제품 대부분의 회로 기판 소재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단결정 실리콘을 원형 디스크 형태로 절단·연마한 뒤 반도체 회로를 집적하는 방식으로 활용되며, 직경은 1인치부터 12인치(300mm)까지 다양하다.

웨이퍼 출하량은 반도체 산업의 선행지표로 여겨지는 만큼, 이번 통계는 첨단 공정 회복과 범용 디바이스 수요 위축이라는 이중 구조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당분간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 흐름과 AI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요 재편 양상이 출하량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CHINAPLAS 2025, 글로벌 바이어 이끄는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혁신 플랫폼

CHINAPLAS 2025가 내년 4월 15일부터 18일까지 중국 선전의 세계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차이나플라스는 중국의 경제 전략인 ‘이중 순환’을 반영해 내수와 국제 교역을 아우르는 중요한 플랫폼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목표를 내세웠다. 세계

올해 3분기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6%↑

올해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및 소비자 제품 수요가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한 가운데, 자동차 및 산업용 웨이퍼 수요는 둔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SEMI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1분기 전년 대비 2.2% 증가

올해 1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첨단 공정 수요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지만, 전 분기 대비로는 계절적 요인과 재고 조정 영향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반도체 공급망 전문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 실리콘 웨

올해 OLED 소재 시장 성장 재개, 20억 달러 초과 예상

OLED 소재 시장은 2021년까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OLED 확장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2022년에는 처음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시장 조사 기관 옴디아(Omdi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OLED 소재 시장이 최근 몇 년간의 침체기를 벗어나 성장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美 신정부 규제 변화…바이오산업 주요 이슈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 기회를 찾기 위해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MHC)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가 한국 기업들의 성과와 바이오산업의 주요 흐름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바이오제약 업계의 최신 동향과 함께 AI 기반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