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의 핵심 기술, 유·무기 하이브리드 봉지 구조 개발

OLED 내구성 혁신으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상용화 앞당겨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의 핵심 기술, 유·무기 하이브리드 봉지 구조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자
유기-무기 멀티배리어 구조의 기계적 특성 평가 및 인장 테스트 결과

OLED 기술이 차세대 웨어러블 및 접이식 디스플레이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멀티배리어 봉지 구조가 개발돼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연구팀은 OLED의 주요 약점으로 꼽히는 수분과 산소에 대한 민감성을 해결하며, 극한 환경에서도 장기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획기적인 성과를 보였다.

개발된 봉지 구조는 알루미늄 산화물(Al2O3)과 실란계 폴리머를 번갈아 쌓는 하이브리드 설계로 구성됐다. 무기층은 OLED를 외부의 수분과 산소로부터 보호하며, 유기층은 기계적 유연성을 제공한다. 기존 기술이 환경 변화에 취약했던 것과 달리, 이 구조는 2.8%의 연신율을 견디며 우수한 내구성을 입증했다.

특히, 연구팀은 '물 위 인장 시험(TOW)'이라는 새로운 기법을 도입해 봉지층의 기계적 특성을 정밀히 분석했다. 이를 통해 기존 무기 재료의 한계를 뛰어넘는 유연성과 인장성을 확인했으며, 반복적인 굽힘과 물리적 스트레스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했다.

개발된 하이브리드 봉지 구조는 85°C, 85% 상대 습도라는 가혹한 조건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보였다. 30시간 동안 노출된 후에도 1.43%의 연신율을 유지하며 OLED의 수명 연장 가능성을 증명했다. 또한, Al2O3와 실란계 폴리머 간 화학적 결합이 봉지층의 안정성을 강화해 외부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했다.

웨어러블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적용 사례
연구팀은 개발한 봉지 기술을 플렉서블 OLED와 텍스타일 기반 웨어러블 OLED 제작에 적용했다. 제작된 OLED는 반복적인 굽힘과 물 속에서도 성능을 유지했으며, 텍스타일 OLED는 물에 담근 상태에서 250시간 동안 밝기를 유지하는 등 내구성을 입증했다.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의 핵심 기술, 유·무기 하이브리드 봉지 구조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자
SASAS 멀티배리어로 봉지된 고신뢰성 섬유 기반 Wearable OLED의 구현

이러한 성과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접이식 디스플레이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중요한 기술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물리적 변형과 환경적 스트레스에 강한 특성은 일상생활에서의 활용 범위를 크게 확장할 것으로 보인다.

OLED 혁신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선도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멀티배리어 구조는 OLED 기술의 내구성과 환경 저항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며, 웨어러블 기기와 차세대 디스플레이 상용화에 중대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유연성과 안정성을 겸비한 봉지 구조는 OLED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며, 웨어러블 및 접이식 전자기기의 실용화를 앞당길 것"이라고 밝혔다.

OLED의 내구성 강화와 장기적 신뢰성 확보는 기술적 진보를 넘어 웨어러블 시장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전망이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리튬이온전지 성능 높일 희생양극소재 개발

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우려가 커짐에 따라 탄소중립이 중요시되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산업에서는 내연기관을 이용한 기존 차량에서 전기자동차로의 빠른 전환을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전기차의 핵심 전원인 리튬이온전지(LIBs)가 부상하고 있다. 현재 상용 리튬이온전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

유기 분자·무기 원소, 중심 금속 그리고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고 이온 결정 구조를 가지는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는 현재 디스플레이 소재로 사용되는 양자점 (Quantum dot) 혹은 유기 발광소재와 비교해 제작 비용이 낮다. 색상 조절도 쉽고, 색순도가 뛰어나 차세대 디스플레이

침탄·집화열처리 기술 통해 제조업 발전과 수출 기여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동서열처리 구문서 대표를 올해 ‘이달의 기능한국인’로 각각 선정했다. 구문서 대표는 침탄과 질화열처리 기술을 보유한 열처리 분야의 최고 전문가다. 동서열처리 구문서 대표는 침탄과 질화열처리 기술로 기계 부품의 경도 강화를 통해 제조업 발전과 수

신경봉합술 가능한 피부 모사 접착 패치 개발

교통사고나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영유아들이 문틈 등에 끼어 손가락이나 인체 일부가 절단되는 외상성 절단 사고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외상성 절단 환자의 조직 재건을 위해서는 수술을 통해 뼈, 신경, 혈관 등 다양한 조직을 연결하는 봉합술이 요구된다. 절단 조직의

인공지능으로 복잡한 대사 과정 풀어

미생물 성장의 핵심 대사반응(metabolic reaction)을 규명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윤성호 교수(건국대학교) 연구팀이 인공지능과 가상세포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영양 조건에서 미생물 성장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대사반응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