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CES 2025, 한국 기업 역대 최대 규모 참가… "수출 원팀 코리아, 위기에 더 강하다"

통합한국관 445개 사 포함 약 900개 사 참가… AI, 디지털 헬스, 모빌리티 등 혁신 기술 선보여

CES 2025, 한국 기업 역대 최대 규모 참가… "수출 원팀 코리아, 위기에 더 강하다"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 445개 사 규모의 통합한국관을 운영한다. 삼성, LG, 현대, SK 등 국내 대기업과 통합한국관 참가 기업, 중소·중견기업을 포함해 약 900개 사가 CES 2025에 참가할 예정이다.

KOTRA를 비롯한 36개 기관이 참여하는 통합한국관은 Eureka Park(혁신기업관) 308개 사, Global Pavilon(국가관) 137개 사 등 총 445개 사 규모로 운영된다. 생활가전(18%), 디지털 헬스(17%), 인공지능(16%), 스마트홈(12%) 분야 기업들이 참가해 혁신 기술을 선보인다.

KOTRA는 CES 2025 개막에 앞서 6일 '현지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개최한다. CES 주최 측인 CTA(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의 산업분석팀장, 미국 모건 스탠리(Morgan Stanley)의 매니징 디렉터 등이 연사로 나서 미국 소비재 가전 시장 전망, 스타트업 트렌드, 투자 유치 방안 등을 소개했다.

KOTRA는 8일 미국 현지 엑셀러레이터 Startup-Junkie와 협력해 'K-Innovation 피칭 챌린지'를 개최한다. 국내 혁신 기업 20개 사가 Walmart, JB Hunt, IBM 등 미국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피칭을 진행하고, 네트워킹 리셉션을 통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한다.

CES 2025는 'Dive In(빠져들다)'을 주제로 기술과 인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혁신 가능성을 제시한다. 올해 전시회는 기후 변화 대응, 정신 건강 개선, 효율적인 생산 등 당면 과제를 해결할 솔루션을 제시하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지능(AI), 디지털 헬스, 모빌리티, 지속가능성 등이 핵심 이슈로 다뤄질 예정이다.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은 최첨단 인공지능 솔루션 생성형 AI를 선보일 계획이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국내외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CES에서 2년 연속 역대 최대 규모 통합한국관을 구성했다"며 "이는 수출 원팀 코리아의 저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향후 대외 신인도와 수출 동력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CES 2025는 비즈니스 기회 발굴과 최신 기술 트렌드 확인을 위한 좋은 기회"라며 "CES에서 발굴된 혁신의 성과가 실제 수출로 이어지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1분기 전년 대비 2.2% 증가

올해 1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첨단 공정 수요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지만, 전 분기 대비로는 계절적 요인과 재고 조정 영향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반도체 공급망 전문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 실리콘 웨

[글로벌 산업 트렌드] 2025년 10월 주요 동향 요약

10월 현재, 글로벌 제조업계는 AI-로봇 통합 확대, 지역별 플랜트 투자 강화, 스마트팩토리 인증 사례 확산, 엣지 기반 인프라 고도화, 산업용 사이버 위협 대응 등 복합적 변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산업기계·장비·플랜트 Nidec, 美 테네시 신공장 확장 일본 전기기기 업체 Nidec는 미국 테

美 신정부 규제 변화…바이오산업 주요 이슈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 기회를 찾기 위해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MHC)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가 한국 기업들의 성과와 바이오산업의 주요 흐름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바이오제약 업계의 최신 동향과 함께 AI 기반

[글로벌 산업 트렌드] 2025년 9월 말 주요 동향 요약

※ 본 콘텐츠는 매주 업데이트되는 글로벌 산업 동향 요약본입니다. 산업기계·장비·플랜트, IoT·스마트팩토리·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AI) 등 주요 분야에서 주목받는 트렌드를 선별해 글로벌 기업 전략, 기술 투자 흐름, 정책 동향을 정보 중심으로 제공합니다. 9월 말 현재, 산업기계·플랜트 부문

[글로벌 산업 트렌드] TOP 5…산업기계·스마트팩토리·AI, 고도화·자동화·투자 확대 흐름

※ 본 콘텐츠는 매주 업데이트되는 글로벌 산업 동향 요약본입니다. 산업기계·장비·플랜트, IoT·스마트팩토리·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AI) 등 주요 분야에서 주목받는 트렌드를 선별해 글로벌 기업 전략, 기술 투자 흐름, 정책 동향을 정보 중심으로 제공합니다. 산업기계·장비·플랜트 Doncaste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