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첨단 기술 혁신과 비전의 무대 'CES 2025'

AI·디지털 헬스부터 양자 컴퓨팅까지, 주요 트렌드 선보여

첨단 기술 혁신과 비전의 무대 'CES 2025'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사진=소비자기술협회(CTA)®

세계 최대 기술 행사인 CES® 2025(Consumer Electronics Show)가 현지 시간 1월 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했다.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 CTA)가 주최한 '소비자 전자제품 전시회'는 AI, 디지털 헬스, 지속 가능성, 차세대 모빌리티, 양자 컴퓨팅 등 첨단 기술과 글로벌 산업의 혁신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로 10일까지 진행했다.

첨단 기술 혁신과 비전의 무대 'CES 2025'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게리 샤피로 CTA CEO와 킨제이 파브리치오 CTA 회장<사진=소비자기술협회(CTA)®>

게리 샤피로 CTA CEO는 개막식에서 “CES는 전 세계인의 삶을 개선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며 글로벌 경제 성장을 이끄는 혁신의 장”이라며, “비즈니스와 파트너십이 탄생하는 플랫폼”이라고 밝혔다. 킨제이 파브리치오 CTA 회장은 “CES는 기술 혁신을 믿는 사람들이 모여 산업과 세계를 발전시키는 대화를 이끌어내는 독보적인 행사”라고 덧붙였다.

CTA는 개막 연설에서 글로벌 기술 산업 전망과 개인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의 역할을 강조했다. 동시에, 퀀텀 월드 콩그레스와의 협력을 발표하며 혁신 펀드에 500만 달러를 신규 투자한다고 밝혔다. 또, 2년 주기로 발표되는 글로벌 혁신 스코어카드를 통해 기술 혁신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갖춘 국가를 조명했다.

엔비디아(NVIDIA)의 젠슨 황 CEO는 기조연설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혁신 성과와 미래 비전을 공유했다. 그는 새로운 그래픽 카드인 지포스 RTX 50, 실시간 AI 비서 ‘에이전틱 AI’, 자율주행 차량 플랫폼 ‘드라이브 OS’ 등을 공개하며 AI 기반 기술의 응용 가능성을 강조했다. 파나소닉의 유키 쿠스미 CEO는 지속 가능성과 디지털 가족 웰니스 플랫폼 ‘우미(Umi)’를 발표하며 재생 에너지와 AI 기술을 활용한 공급망 솔루션을 소개했다.
첨단 기술 혁신과 비전의 무대 'CES 2025'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사진=LG전자>

CES 미디어데이는 전시회 개최에 앞서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만달레이 베이에서 열렸다. 삼성전자, LG전자, 소니, 토요타 등 글로벌 브랜드들이 참가해 주요 혁신 제품과 기술을 발표했다. CES 언베일드 행사에서는 20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해 전기 소금 스푼, 스마트 기타, 심장 건강 진단 장치 등 다양한 첨단 제품을 선보였다.

첨단 기술 혁신과 비전의 무대 'CES 2025'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사진=소비자기술협회(CTA)®

CES 2025는 첨단 기술과 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글로벌 기술 산업의 비전을 공유하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올해 3분기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6%↑

올해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및 소비자 제품 수요가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한 가운데, 자동차 및 산업용 웨이퍼 수요는 둔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SEMI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모바일PC 시장용 OLED 2031년까지 연평균 37% 성장 전망

옴디아(Omdia)의 디스플레이 장기 수요 예측 트래커에 따르면 모바일 PC의 OLED 디스플레이 수요는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연평균 3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많은 기업들이 프리미엄 노트북과 태블릿에 OLED 패널을 점점 더 많이 적용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한다. 2022년과 2023년

CHINAPLAS 2025, 글로벌 바이어 이끄는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혁신 플랫폼

CHINAPLAS 2025가 내년 4월 15일부터 18일까지 중국 선전의 세계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차이나플라스는 중국의 경제 전략인 ‘이중 순환’을 반영해 내수와 국제 교역을 아우르는 중요한 플랫폼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목표를 내세웠다. 세계

[국제동향] 제조업의 미래 '스마트 팩토리로 디지털 전환'

지난 한 주간 제조업 분야에서는 디지털 전환의 일환으로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 해외 매체들은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대한 내용을 앞다투어 보도했다. 미국의 제조 기업인 GE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해 생산성을 20% 향상 시켰다고 발표했다. GE는 자사의 항공

올해 OLED 소재 시장 성장 재개, 20억 달러 초과 예상

OLED 소재 시장은 2021년까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OLED 확장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2022년에는 처음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시장 조사 기관 옴디아(Omdi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OLED 소재 시장이 최근 몇 년간의 침체기를 벗어나 성장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