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합성가스를 에탄올로 바꾸는 ‘대사전환’ 핵심기술 개발

미생물 대사 전환 기술로 탄소 중립 앞당긴다

합성가스를 에탄올로 바꾸는 ‘대사전환’ 핵심기술 개발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아세토제네시스’로부터 ‘에탄올로제네시스’로 대사 전환

국내 연구진이 합성가스를 바이오연료로 전환하는 핵심 기술을 완성했다. 이는 합성가스 발효 과정에서 에탄올을 단일 산물로 생산하도록 미생물의 대사 경로를 전환한 결과다. 이를 통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며 상업화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한국연구재단은 광주과학기술원 장인섭 교수와 고려대학교 최인걸 교수 연구팀이 합성가스(CO, CO₂)와 C1 가스를 발효하여 단일화된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합성가스 발효는 바이오연료와 바이오 화합물을 생산하는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기술이다. 그러나 기존 방식은 혼합 산물이 생성돼 상업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성가스 발효 과정에서 초산을 재흡수하여 에탄올로 전환하는 대사 경로를 구축했다.

미생물 아세토젠은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아세트산을 생성하는데, 연구팀은 이 과정에 새로운 경로를 추가해 에탄올을 단일 산물로 생산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기존의 ‘아세토제네시스’ 경로를 변형한 이 기술은 미생물 생장 저하 없이 단일 산물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연구 성과는 바이오 연료 생산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데 기여했다. 합성가스는 바이오매스와 폐기물의 가스화 과정에서 얻어질 수 있는 자원으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공급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바이오 에너지 상업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연구진은 에탄올 생성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명확히 규명했으며, 이를 통해 바이오 화합물 생산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이번 대사 전환 기술은 다양한 바이오 산업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크다.

장인섭 교수는 “개발된 기술은 미생물 발효 과정에서 혼합 산물을 생성하던 기존 한계를 극복하며, 지속 가능한 바이오 에너지 생산을 위한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며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에너지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결과는 바이오 기술 분야의 국제 학술지 *트렌드 인 바이오테크놀로지(Trends in Biotechnology)*에 1월 9일자로 게재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실리콘 포토닉스 4-큐비트 칩/패키지 사진 및 양자회로 개념도

세계 최초 8광자 큐비트 집적회로 칩 개발 성공 ETRI, 양자 얽힘 구현한 실리콘 포토닉스 칩 성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8개의 광자를 이용해 양자 얽힘을 구현한 큐비트 집적회로 칩을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ETRI의 양자컴퓨터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ETRI-웨이비스, 질화갈륨 반도체 국산화…국방·위성 핵심부품 자립 길 열어

국내 연구진이 군수용 레이더 및 위성통신용 핵심부품인 질화갈륨(GaN) 반도체 송수신칩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웨이비스와 함께 군용 및 고해상도 영상레이더(SAR)에 탑재되는 GaN 기반 송수신 집적회로(MMIC) 3종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연구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