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리테일 IT의 미래, 유로시스 2025에서 펼친다 '19개 국내 기업 참가'

AI와 푸드 서비스 로봇으로 미래 쇼핑 경험 선도

리테일 IT의 미래, 유로시스 2025에서 펼친다 '19개 국내 기업 참가'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리테일테크의 핵심 목표는 고객 경험을 극대화하고, 효율적인 매장 운영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I 비전, AR, VR 등 첨단 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며, 지난해부터 리테일 DX(디지털 전환) 대응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주요 유통사들은 로봇 편의점, 가격 혁신 매장 등 미래형 매장의 상용화를 선도하고 있다.

글로벌 리테일테크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29.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성장 고물가 시대에 리테일 IT 솔루션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이에 따라 독일 ‘EuroCIS 2025’ 전시회에는 업계 전문가들이 대거 참가한 가운데 2월 18일부터 20일까지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린다.

EuroCIS는 매년 열리는 세계적인 리테일 IT 전시회로, 지난 2024년에는 14,400m² 규모의 전시 공간과 475개 참가 기업, 41개국에서 온 방문객들이 모였다. 주요 관심사는 POS, 결제 시스템, 커넥티드 리테일, 디지털 마케팅, 로보틱스 등이며, 향후 테크빌딩, 스마트 에너지 관리, HR 관리 등도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전시회에는 포스뱅크, 하나시스, 에이루트 등 국내 리테일 IT 기업 19개가 참가한다. 이들 기업은 POS 시스템, 키오스크, 지폐 계수기, 산업용 리더기 등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인다.

포스뱅크는 키오스크 및 POS 시스템 분야에서 글로벌 리딩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하나시스는 AI 솔루션 및 무인 판매기, 키오스크 등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에이루트는 POS용 프린터 분야에서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참가 기업들은 유럽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기 위해 전시회에 참가했다. EuroCIS 전시회는 80% 이상 재참가율을 기록하며, 이는 유럽 내 실질적인 바이어들이 참여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요 방문 국가는 네덜란드, 영국/북아일랜드, 이탈리아, 벨기에, 폴란드 등이며, 유럽을 넘어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 가능성도 열려 있다.

리테일 IT의 미래, 유로시스 2025에서 펼친다 '19개 국내 기업 참가'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지난 전시회의 방문객 만족도는 94%에 달했다. EuroCIS 2025에서는 블루 스테이지, 레드 스테이지, 스타트업 스테이지 등에서 다양한 강연과 포럼이 진행되며, 고객 경험 혁신과 최신 기술 트렌드를 심도 깊게 다룬다. 또한, 푸드 서비스 로봇관과 스타트업 특별존이 마련되어 방문객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XPONENTIAL 2025와 동시 개최
EuroCIS 2025와 함께 XPONENTIAL 2025도 동시 개최된다. 이 전시회는 자율 시스템, 자율 모빌리티, 로봇공학 등 다양한 우주 항공, 육해공 무인 시스템의 전체 밸류 체인을 다룬다. 이 두 전시회의 동시 개최는 리테일 및 기술 산업의 혁신을 더욱 부각시킬 예정이다.

EuroCIS 2025는 리테일 분야에서의 디지털 혁신과 미래형 기술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중요한 전시회다. 참가 기업들은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며, 최신 기술을 선보이는 동시에 향후 리테일 산업의 변화와 트렌드를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CHINAPLAS 2025, 글로벌 바이어 이끄는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혁신 플랫폼

CHINAPLAS 2025가 내년 4월 15일부터 18일까지 중국 선전의 세계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차이나플라스는 중국의 경제 전략인 ‘이중 순환’을 반영해 내수와 국제 교역을 아우르는 중요한 플랫폼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목표를 내세웠다. 세계

올해 3분기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6%↑

올해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및 소비자 제품 수요가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한 가운데, 자동차 및 산업용 웨이퍼 수요는 둔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SEMI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모바일PC 시장용 OLED 2031년까지 연평균 37% 성장 전망

옴디아(Omdia)의 디스플레이 장기 수요 예측 트래커에 따르면 모바일 PC의 OLED 디스플레이 수요는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연평균 3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많은 기업들이 프리미엄 노트북과 태블릿에 OLED 패널을 점점 더 많이 적용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한다. 2022년과 2023년

[국제동향] 제조업의 미래 '스마트 팩토리로 디지털 전환'

지난 한 주간 제조업 분야에서는 디지털 전환의 일환으로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 해외 매체들은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대한 내용을 앞다투어 보도했다. 미국의 제조 기업인 GE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해 생산성을 20% 향상 시켰다고 발표했다. GE는 자사의 항공

올해 OLED 소재 시장 성장 재개, 20억 달러 초과 예상

OLED 소재 시장은 2021년까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OLED 확장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2022년에는 처음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시장 조사 기관 옴디아(Omdi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OLED 소재 시장이 최근 몇 년간의 침체기를 벗어나 성장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