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차세대 전력반도체, 우주 방사선 환경에서도 신뢰성 확보

KERI, SiC 전력반도체 방사선 내성 평가 기술 개발

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반도체연구센터 서재화 박사팀이 탄화규소(SiC) 전력반도체의 방사선 내성을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차세대 전력반도체, 우주 방사선 환경에서도 신뢰성 확보 - 산업종합저널 전기
서재화 박사가 우주 환경에서 SiC 전력반도체 소자의 방사선 내성을 평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국내 최초로 고에너지 우주 환경을 모사해 진행됐으며, 방사선 영향 분석을 통해 SiC 전력반도체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전력반도체는 전기·전자기기의 전력 변환과 제어를 담당하는 핵심 부품으로, 전기차뿐만 아니라 위성, 탐사선, 항공기 등 우주 환경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 실리콘(Si) 기반 전력반도체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높은 내구성과 전력 효율성을 갖춘 탄화규소(SiC), 질화갈륨(GaN) 등의 와이드밴드갭(WBG) 반도체가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SiC 전력반도체는 기존 실리콘 대비 높은 전압을 견디고, 고온에서도 작동 가능하며, 전력 소모를 줄여 에너지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차세대 전력반도체, 우주 방사선 환경에서도 신뢰성 확보 - 산업종합저널 전기
연구개발 현장

우주 방사선은 위성과 탐사선에 탑재된 전력반도체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미국과 유럽에서는 방사선 영향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실리콘 전력반도체 수준의 기초 연구에 머물러 있었다.

KERI 연구팀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가속기 시설을 활용해 고에너지 양성자(100MeV)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고, 국립경상대 윤영준 교수팀과 협업해 정확한 방사선 조사 조건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국산 SiC 전력반도체의 전압 변화, 누설 전류 증가, 격자 손상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며, 우주 환경에서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SCI급 국제 저널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에 게재됐다.

차세대 전력반도체, 우주 방사선 환경에서도 신뢰성 확보 - 산업종합저널 전기
SiC 전력반도체

서재화 박사는 “우주·항공뿐만 아니라 의료용 방사선 기기, 원자력 발전, 방사선 폐기물 처리, 국방 전자제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가능하다”고 밝히며, “향후 초고에너지급(200MeV 이상) 방사선 환경에서도 SiC 전력반도체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내방사(radiation-resistance) 전력반도체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연구팀은 경남도 및 일본 반도체 기업 ‘오브레이(Orbray)’와 협력해 다이아몬드 기반 미래형 전력반도체 연구도 진행 중이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실리콘 포토닉스 4-큐비트 칩/패키지 사진 및 양자회로 개념도

세계 최초 8광자 큐비트 집적회로 칩 개발 성공 ETRI, 양자 얽힘 구현한 실리콘 포토닉스 칩 성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8개의 광자를 이용해 양자 얽힘을 구현한 큐비트 집적회로 칩을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ETRI의 양자컴퓨터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 발견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을 관측하며, 기존 스핀트로닉스 연구의 한계를 넘어설 가능성을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이경진·김갑진 교수와 서강대학교 정명화 교수 공동 연구팀이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고 5일 발표했다. 연구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CCU 기술 개발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만드는 CCU 기술이 개발돼 주목받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이효영 교수 연구팀은 새로운 가시 광촉매를 활용해 이산화탄소와 메탄올로부터 항공유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는 디메톡시메탄(Dimethoxymethane)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CCU 기술은 이

EU 환경규제 넘는 ‘PVDF 대체 배터리 바인더’, 국내서 나왔다

KERI(한국전기연구원) 절연재료연구센터 임현균·강동준 박사팀이 KIST 유정근 박사, 성균관대 김종순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차전지 분야의 ‘숨은 주역’인 바인더 성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이면서 친환경 소재까지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제 저명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됐다.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