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기존 섬유 제조 공정으로 웨어러블 전자기기용 와이어 개발

한국전기연구원, 나노 기반 고에너지 경량 와이어 기술 확보

기존 섬유 제조 공정으로 웨어러블 전자기기용 와이어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기
앞줄 왼쪽부터 KERI 한중탁 박사와 KIMS 김태훈 박사를 비롯한 연구팀이 각각 CNT 용액 및 와이어, 목걸이형 슈퍼커패시터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나노융합연구센터 한중탁 박사팀이 기존 합성섬유 공정 방식을 활용해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와이어를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웨어러블 전자기기는 스마트 시계, 안경, 이어폰 등 다양한 형태로 일상에 자리 잡고 있으며, 가볍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성능이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이러한 기기의 핵심 소재 중 하나인 기능성 와이어는 전기가 통하는 동시에 높은 유연성을 요구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CNT)를 활용해 고에너지 경량 와이어를 개발했다. CNT는 강철보다 100배 강하면서도 전기 전도성이 구리에 버금가는 신소재로, 육각형 구조를 이루는 탄소 원자가 원통형으로 배열돼 유연성 또한 뛰어나다. 특히 소량 첨가만으로도 에너지 밀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전자기기에서 구리 사용량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CNT는 응집 성질이 강해 분산이 어렵고, 전기·전자기기 분야에 적용하는 데 높은 기술력이 필요했다.

기존 섬유 제조 공정으로 웨어러블 전자기기용 와이어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기
CNT 기반의 ‘고에너지 경량 기능성 와이어’ 제조 공정

한중탁 박사팀은 CNT 표면에 용매 친화적인 산소 기능기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저온에서 강산과 첨가제를 활용해 CNT를 반죽하듯 처리해 표면 결함을 최소화하고 성능을 극대화했다. 여기에 100나노미터(nm) 크기의 산화 그래핀을 첨가해 CNT 용액(도프)의 분산성을 높이고, 기존 합성섬유 제조 방식과 동일한 방사(spinning) 공정을 적용했다. 방사 과정에서 산소 기능기가 도입된 CNT는 상호 수소 결합을 통해 하나의 가닥으로 접합되며 기능성 와이어로 완성됐다.

한국재료연구원(KIMS)과 건국대 연구팀은 해당 와이어의 성능을 검증했다. 한국재료연구원 김태훈 박사팀은 CNT 와이어를 직물 형태의 슈퍼커패시터로 제작해 에너지 저장 성능을 평가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확인했다. 건국대 이위형 교수 연구팀은 CNT 와이어의 가스 센서 성능을 분석해, 유해가스 감지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 이 기술은 소방, 국방 등 스마트 의류 분야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

연구 결과는 미국 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가 발행하는 나노과학 분야 최상위급 SCI 학술지 ‘ACS Nano’에 게재됐다. 해당 학술지의 JCR 영향력 지수(Impact Factor)는 15.8로, 관련 분야 상위 7.9%에 속한다.

기존 섬유 제조 공정으로 웨어러블 전자기기용 와이어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기
기능화된 CNT 용액 및 경량 와이어 그리고 이를 활용해 제작된 목걸이형 슈퍼커패시터

한중탁 박사는 “기능화된 CNT를 유기용매에 분산하고, 용액 방사해 와이어를 만든 세계 최초의 연구 성과”라며 “이 기술을 통해 가볍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산업 발전을 이끌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향후 전기차나 드론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도 구리 와이어를 대체해 경량성과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KER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이번 연구는 KERI 기본사업과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창의형융합연구사업, 한국연구재단 개인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국내 연구진, 박막 탠덤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차세대 태양광 발전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며 기술 주도권 확보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에서 26.3%의 광발전성능을 구현해, 미국 국립재생에너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AI가 만든 코드, 보안·품질까지 잡았다"… ETRI, '신뢰형 코드 생성 기술' 공개

"로그인 기능을 만들어줘" 같은 자연어 명령만으로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를 생성하는 AI가 보안 취약점, 논리 오류 등 품질 문제를 드러내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AI가 만든 코드의 '신뢰성'까지 보장하는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활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