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레고처럼 조립하는 반도체 등장

체내 삽입·웨어러블 기기용 자가치유 전자회로 개발

레고처럼 조립하는 반도체 등장 - 산업종합저널 전자
신축성 자가치유 전자회로의 웨어러블 및 임플랜터블 시스템 적용

별도 납땜 없이 조립 가능한 자가치유 반도체 기술이 등장했다. 체내 삽입과 분해 후 재조립에도 성능을 유지해, 차세대 의료·헬스케어 기기의 가능성을 넓힌다.

한국연구재단은 성균관대 손동희 교수와 박진홍 교수 공동 연구팀이 신축성과 자가치유 능력을 갖춘 반도체 트랜지스터를 기반으로, 자유롭게 회로를 조립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전자회로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기술은 접합 없이 단면을 맞붙이기만 해도 연결되는 구조로, 트랜지스터의 전극·반도체·절연막에 모두 자가치유 고분자를 적용했다. 탄소나노튜브와 유기반도체를 혼합한 전극과 반도체는 신축성과 전기적 성능을 동시에 확보했으며, 박막 코팅된 절연막은 손상 후에도 기능을 복원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수중 환경에서 동작 가능하고, 체내 이식 후에도 일주일간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는 것을 동물 실험으로 확인했다. 또한 트랜지스터를 모듈형 회로로 확장해, 논리 게이트를 자유롭게 바꾸고 기계적 변형에도 회로가 동작하도록 구성했다.

촉각센서와 발광 커패시터를 조합한 전자피부 시스템도 시연됐다. 피부에 부착된 장치는 물리적 자극을 감지해 특정 위치에서 빛으로 반응하는 상호작용을 구현하며, 향후 착용형 디지털 치료기기나 스마트 인공피부로의 발전이 기대된다.

손동희 교수는 “자가치유 회로 기술은 뇌-신경 치료, 체내 삽입형 센서, 스마트 피부 등 다양한 바이오전자 응용에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며, 박진홍 교수는 “결함 감지부터 자기 복구까지 가능한 지능형 자가치유 시스템으로 진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우수신진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관련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5월 19일 온라인 게재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국내 연구진, 박막 탠덤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차세대 태양광 발전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며 기술 주도권 확보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에서 26.3%의 광발전성능을 구현해, 미국 국립재생에너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ETRI-웨이비스, 질화갈륨 반도체 국산화…국방·위성 핵심부품 자립 길 열어

국내 연구진이 군수용 레이더 및 위성통신용 핵심부품인 질화갈륨(GaN) 반도체 송수신칩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웨이비스와 함께 군용 및 고해상도 영상레이더(SAR)에 탑재되는 GaN 기반 송수신 집적회로(MMIC) 3종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연구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