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AI는 곧 경쟁력”… 기업 맞춤형 전략·플랫폼 시연

KOTRA·태재대, 글로벌 AI 리더 양성 교육 성료

“AI는 곧 경쟁력”… 기업 맞춤형 전략·플랫폼 시연 - 산업종합저널 동향
이정훈 KOTRA 부사장 겸 디지털무역투자본부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KOTRA와 태재대학교는 지난 20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염곡동 KOTRA 본사에서 ‘글로벌 AI 리더 양성 과정’을 개최했다.

이번 교육은 AI 기반의 글로벌 전략 수립과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중소·중견기업 경영진을 대상으로 구성됐다. 3일간 진행된 과정에는 염재호 태재대 총장, 조용민 언바운드랩데브 대표 등 AI 분야 전문가 9인이 참여해 ▲AI 글로벌 전략 ▲개방형 혁신 ▲미래 제조업 전망 등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KOTRA가 자체 개발한 AI 기반 해외시장 분석 플랫폼 ‘챗해드림’과 ‘트라이빅’도 현장에서 시연돼, 참가 기업들로부터 실질적 도입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참석자들은 “막연했던 AI 개념이 실제 비즈니스 전략으로 연결됐다”며, “하반기 예정된 실리콘밸리 연수까지 이어진다면 기업 혁신 역량 제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AI는 곧 경쟁력”… 기업 맞춤형 전략·플랫폼 시연 - 산업종합저널 동향
염재호 태재대학교 총장이 강의하는 모습

염재호 총장은 “AI는 기업에 전례 없는 도전을 던지고 있다”며 “이번 교육이 변화를 통찰하고 미래 경쟁력을 설계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KOTRA 이정훈 부사장은 “단순 지식 전달이 아닌, 데이터 기반 전략 수립과 실행까지 포함한 실전형 교육”이라며 “인공지능 전환(AX) 시대를 주도할 리더 양성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2027년까지 전력 부족 위기 예상

AI와 생성형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2027년까지 일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트너는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전력 비용 인상과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AI 도입, 매출 4%·부가가치 7.6% 증가…생산성 개선은 '아직'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이 매출과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했다는 실증 분석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도입률은 여전히 낮고,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활용이 더딘 상황이다.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지속성장이니

AGI, 인간 지능을 넘보다… 해외 언론이 주목한 전망과 과제

인공일반지능(AGI)의 발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AGI는 특정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과 유사한 지능을 갖춘 인공지능을 의미하며, 경제·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주요 언론과 전문가들은 AGI의 실현 가능성과 그에 따른 도전 과제, 경제적·윤리적 이슈를 다각도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