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AI 상용화 무대 된 타이완… COMPUTEX 2025 폐막

글로벌 ICT 기술 교류지로써 입지 강화, 152개국 8만 명 방문

AI 상용화 무대 된 타이완… COMPUTEX 2025 폐막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COMPUTEX 2025’가 나흘간의 일정을 마무리했다. 미국, 일본, 인도 등 152개국에서 8만6,512명이 행사장을 찾으며, 타이완이 AI 실용화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올해 주제는 ‘AI Next’. 스마트 컴퓨팅, 차세대 기술,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AI 기반 기술이 집중 조명됐다. 페가트론은 로봇견과 VR 헤드셋을, 벤큐는 AI 골프 시뮬레이터를 선보였다. 어드밴텍과 솔로몬은 자율이동로봇과 AIoT 플랫폼을 전시했다.

타이완 첨단차량기술발전협회는 Vitalcore 등 19개 브랜드와 차량용 솔루션을 공개했다. 스타트업 특별관 ‘InnoVEX’에는 24개국 450개사가 참여했고, 태국과 필리핀은 첫 국가관을 구성했다. 스타트업 경진대회에선 타이완 DeepRad.AI가 의료 영상 분석 기술로 수상했다.

기조연설에는 NVIDIA 젠슨 황 CEO와 퀄컴, 폭스콘, 미디어텍 임원 등이 참석해 AI 생태계에서 타이완의 역할을 강조했다. ‘AI in Action’ 포럼은 1,300여 명이 몰리며 산업 전반의 실증 사례가 공유됐다.

페가트론, 에이수스, 라이트온은 지속가능디자인어워드에서 상을 받았고, 브랜드 협업 사례로는 plain-me와 ‘꽈이꽈이’의 공동 프로젝트, 타이완 증권거래소와 GQ의 라운지 운영이 소개됐다.

‘COMPUTEX 2026’은 내년 6월 2일부터 5일까지 열린다. 행사장은 난강 전시장과 TWTC 1관으로 확대된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CHINAPLAS 2025, 글로벌 바이어 이끄는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혁신 플랫폼

CHINAPLAS 2025가 내년 4월 15일부터 18일까지 중국 선전의 세계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차이나플라스는 중국의 경제 전략인 ‘이중 순환’을 반영해 내수와 국제 교역을 아우르는 중요한 플랫폼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목표를 내세웠다. 세계

올해 3분기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6%↑

올해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및 소비자 제품 수요가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한 가운데, 자동차 및 산업용 웨이퍼 수요는 둔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SEMI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1분기 전년 대비 2.2% 증가

올해 1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첨단 공정 수요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지만, 전 분기 대비로는 계절적 요인과 재고 조정 영향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반도체 공급망 전문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 실리콘 웨

올해 OLED 소재 시장 성장 재개, 20억 달러 초과 예상

OLED 소재 시장은 2021년까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OLED 확장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2022년에는 처음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시장 조사 기관 옴디아(Omdi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OLED 소재 시장이 최근 몇 년간의 침체기를 벗어나 성장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美 신정부 규제 변화…바이오산업 주요 이슈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 기회를 찾기 위해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MHC)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가 한국 기업들의 성과와 바이오산업의 주요 흐름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바이오제약 업계의 최신 동향과 함께 AI 기반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