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과학기술인상' 오형석 책임연구원 수상…CO₂를 산업 자원으로 전환한 실증 성과 주목

e-CCU 기술 기반 대규모 실증 플랜트 구축…탄소중립·순환경제 실현 가능성 입증

실험실에 머물던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이 산업 현장까지 이어지고 있다.
오형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은 CO₂를 고부가 화학물로 바꾸는 전기화학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실증 설비로 구현한 공로로 6월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KIST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오형석 책임연구원을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오 연구원은 전기화학적 CO₂ 전환 기술(e-CCU)을 통해 온실가스를 에틸렌, 에탄올, 합성가스 등 고부가 화합물로 바꾸는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실증 단계까지 확장시킨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과학기술인상' 오형석 책임연구원 수상…CO₂를 산업 자원으로 전환한 실증 성과 주목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CO₂를 전기화학적으로 전환해 고부가 화합물을 생산하는 e-CCU 기술(상), 실시간 분석 플랫폼과 같은 원천 연구부터 실증화 연구(下), 박스 내 이미지=오형석 연구원

e-CCU는 공정 배출가스를 태양광·풍력 기반의 전기로 재활용하는 방식으로, 단순한 감축을 넘어 자원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핵심은 고성능 촉매 소재 개발과 이를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디바이스화 기술이며, 산업화를 위한 재현성과 안정성 확보도 병행돼야 한다.

오 연구원은 전극의 국소 pH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통해, CO₂가 촉매 표면에 효율적으로 도달하도록 설계했고, 1 A/cm² 수준의 고전류밀도 성능을 달성했다. 이는 실험실 단계를 넘어 산업화 수준에 해당하는 수치로 평가된다. 또한 가속기 기반 X-선 흡수분광법(XAS)을 적용해 반응 중 촉매의 상태 변화와 생성물 분포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플랫폼도 개발했다.

이러한 기초 성과를 바탕으로, 오 연구원은 충남 보령 중부발전소에 하루 200kg 규모의 CO 생산이 가능한 실증 플랜트를 구축했다. 이는 세계 최초 대규모 e-CCU 실증 사례로, 탄소 포집 기술의 산업 적용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입증한 셈이다.

오형석 책임연구원은 “산업화라는 분명한 목표가 있었기에 원천 기술과 실증이 함께 갈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실용적 e-CCU 기술로 탄소 순환경제 기반 구축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실리콘 포토닉스 4-큐비트 칩/패키지 사진 및 양자회로 개념도

세계 최초 8광자 큐비트 집적회로 칩 개발 성공 ETRI, 양자 얽힘 구현한 실리콘 포토닉스 칩 성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8개의 광자를 이용해 양자 얽힘을 구현한 큐비트 집적회로 칩을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ETRI의 양자컴퓨터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 발견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을 관측하며, 기존 스핀트로닉스 연구의 한계를 넘어설 가능성을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이경진·김갑진 교수와 서강대학교 정명화 교수 공동 연구팀이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고 5일 발표했다. 연구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