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AI 기본법, 규제 조항 개정 없으면 창업가들 ‘엑소더스’할 것”

국회서 AI 기본법 진흥·규제 균형 찾는 정책 토론회 열려

“AI 기본법, 규제 조항 개정 없으면 창업가들 ‘엑소더스’할 것” - 산업종합저널 전자
‘AI 시대, 한국형 기본법의 길을 묻다, 진흥과 규제의 균형을 위한 정책 토론회’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내년 1월 시행을 앞둔 ‘A I기본법(‘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은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의 진흥과 윤리적 규제 사이의 균형점을 제시하는 기준이다. 그러나, AI 산업 현장의 목소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불명확한 규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국회에서는 AI 기본법의 남은 과제를 살피고, 개정 필요성 및 방향을 제시하는 ‘AI 시대, 한국형 기본법의 길을 묻다, 진흥과 규제의 균형을 위한 정책 토론회’가 28일 개최됐다.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실과 (사)한국벤처창업합회가 주최하고 스타트업얼라이언스(STARTUP ALLIANCE)가 주관했다.
“AI 기본법, 규제 조항 개정 없으면 창업가들 ‘엑소더스’할 것” - 산업종합저널 전자
‘AI 시대, 한국형 기본법의 길을 묻다, 진흥과 규제의 균형을 위한 정책 토론회’ 전경

토론에 앞서, 가천대학교 전성민 교수와 서울대학교 박상철 교수가 주요국의 AI 법령 동향을 소개하고 현재 AI 기본법의 한계와 대안을 발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서울대학교 유병준 교수가 좌장을 맡고, 강원대학교 이해원교수·동덕여자대학교 김주희 교수·BHSN 임정근 대표·국회입법조사처 정준화 입법조사관·과학기술정보통신부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이 토론자로 나서 ‘산업 진흥’에 초점을 맞춰 AI 기본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AI 기본법, 규제 조항 개정 없으면 창업가들 ‘엑소더스’할 것” - 산업종합저널 전자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

이날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은 “현재 한국 AI 산업은 진흥과 규제의 갈림길에 서있다”라며 “아직 출발하지도 않은 스타트업 선수들에게 모래주머니를 다는 것은 도전의 의지를 꺽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AI 기본법의 규제조항, 고영향 AI 정의, 사실 조사, 과태료 등 우려 조항이 어떤 식으로 적용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한국이 세계 최초로 규제 법안을 만들 필요가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을 느껴, 규제조항을 3년 유예하는 법안을 대표 발의 했다”라고 언급했다.

“각계각층의 우려대로 안전망을 최대한 확보해야 하겠지만, 규제는 더 정교하게 방법을 가다듬어야 한다”라며 “오늘 이 자리를 통해 진흥과 규제의 적절한 균형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AI 기본법, 규제 조항 개정 없으면 창업가들 ‘엑소더스’할 것” - 산업종합저널 전자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이기대 센터장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이기대 센터장은 “AI 기본법의 규제조항을 지금 이대로 시행하면, 기술의 발전보다는 규제의 틀이 먼저 고정되는 셈”이라며 “이로 인한 인재 유출은, 규제로 인한 탈출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미래 대한민국을 먹여 살릴 혁신가를 놓치지 않도록, 규제 이슈는 조심스럽게 접근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김지운 기자 기자 프로필
김지운 기자
jwkim@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2027년까지 전력 부족 위기 예상

AI와 생성형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2027년까지 일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트너는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전력 비용 인상과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AI 도입, 매출 4%·부가가치 7.6% 증가…생산성 개선은 '아직'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이 매출과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했다는 실증 분석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도입률은 여전히 낮고,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활용이 더딘 상황이다.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지속성장이니

AGI, 인간 지능을 넘보다… 해외 언론이 주목한 전망과 과제

인공일반지능(AGI)의 발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AGI는 특정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과 유사한 지능을 갖춘 인공지능을 의미하며, 경제·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주요 언론과 전문가들은 AGI의 실현 가능성과 그에 따른 도전 과제, 경제적·윤리적 이슈를 다각도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