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1분기 상장 중견기업 성장성 둔화…수익성 혼조·안정성 약화

중견련 “대내외 불안정성 확대…경영 애로 완화 위한 법·제도 재검토 필요”

올해 1분기 상장 중견기업의 성장성이 전년 동기 대비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가 4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상장 중견기업 경영 분석’에 따르면, 매출액증가율과 총자산증가율이 각각 2.2%p, 2.4%p 하락했다.
1분기 상장 중견기업 성장성 둔화…수익성 혼조·안정성 약화 - 산업종합저널 동향

매출액증가율은 1.3%, 총자산증가율은 3.8%로 집계됐다. 제조업은 매출액증가율이 1.5%로 0.5%p 상승했으나 총자산증가율이 4.2%로 1.1%p 하락했다. 비제조업은 매출액증가율이 0.8%로 8.8%p, 총자산증가율은 2.9%로 5.2%p 감소했다. 이번 분석은 2023년 결산 기준 중견기업 5천868개 사 중 상장사 992개 사의 2024년 1분기~2025년 1분기 재무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수익성 지표는 혼조세를 보였다. 1분기 매출액영업이익률은 6.8%로 0.5%p 상승했지만,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8.6%로 0.6%p 하락했다. 제조업은 영업이익률이 5.8%(+0.6%p), 세전순이익률이 7.3%(-0.8%p), 비제조업은 영업이익률이 8.9%(+0.3%p), 세전순이익률이 11.5%(-0.3%p)로 나타났다. 중견련은 “영업이익은 소폭 증가했으나 지분법손실, 외환차손 등 영업외비용 확대가 세전순이익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안정성 측면에서는 부채비율이 소폭 개선됐음에도 장·단기차입금 증가로 불안정성이 높아졌다. 상장 중견기업의 부채비율은 67.1%로 0.7%p 감소했지만, 차입금의존도는 13.0%로 0.3%p 상승했다. 제조업은 부채비율 68.3%(-0.3%p), 차입금의존도 13.6%(+0.1%p), 비제조업은 부채비율 64.8%(-1.4%p), 차입금의존도 11.8%(+0.8%p)를 기록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보호무역주의 확산, 공급망 불안, 내수 부진 등으로 지난 1년간 중견기업 경영 여건이 크게 악화했다”며 “미국 상호관세 협상 타결로 통상 불확실성이 완화된 만큼, 법인세 인상·상법 개정·노란봉투법 등 경영 부담 요인의 재검토와 함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정책 지원·민관 협력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지운 기자 기자 프로필
김지운 기자
jwkim@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