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이산화탄소 포집 비용 낮출 고분자 분리막 개발

미세다공성 구조로 저온에서도 고효율 분리… 기후 대응 핵심 기술 기대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고분자 분리막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간단한 열처리만으로 미세다공성 구조를 형성해 기존 분리막의 한계를 넘어서는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홍원화)은 서강대학교 이종석 교수 연구팀이 외부 유래 미세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이산화탄소 분리 효율과 장기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한 세계적 수준의 결과로,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판에 8월 5일 게재됐다.

이산화탄소 포집 비용 낮출 고분자 분리막 개발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上)불소화 방향족 고분자의 탈불소화 및 가교 메커니즘 모식도와 비대칭 중공사막의 개요

연구팀은 불소가 포함된 방향족 고분자를 450℃에서 열처리해 선택적 탈불소화 반응을 유도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라디칼이 인접 고분자 사슬과 결합해 견고한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했고, 안정적인 미세기공이 만들어졌다. 덕분에 기존 분리막에서 문제가 됐던 투과도-선택도 상충관계를 극복하면서도 장기 물리적 노화와 가소화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했다.

실험 결과,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상용 폴리설폰 분리막 대비 2천100배 높은 1만2천 Barrer에 달했다. 또한 영하 20℃의 저온 조건과 40기압 이상의 고압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했으며, 2019년 제시된 고분자 분리막의 이론적 성능 한계를 넘어섰다. 연구팀은 대면적 제조에 필수적인 중공사막 형태 제작에도 성공해 산업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개발된 기술은 CCUS(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석유화학 공정, 수소 생산 등 다양한 에너지·환경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저온 조건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해 차세대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의 핵심 기술로 자리잡을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 수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한우물파기 기초연구사업 및 선도연구센터(ERC) 집단연구과제 지원으로 이뤄졌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국내 연구진, 박막 탠덤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차세대 태양광 발전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며 기술 주도권 확보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에서 26.3%의 광발전성능을 구현해, 미국 국립재생에너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ETRI-웨이비스, 질화갈륨 반도체 국산화…국방·위성 핵심부품 자립 길 열어

국내 연구진이 군수용 레이더 및 위성통신용 핵심부품인 질화갈륨(GaN) 반도체 송수신칩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웨이비스와 함께 군용 및 고해상도 영상레이더(SAR)에 탑재되는 GaN 기반 송수신 집적회로(MMIC) 3종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연구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