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韓 에너지 전환, AI·자동화가 핵심 동력"… 68% "설비투자 10% 이상 할당"

ABB, '亞太 에너지 전환 준비 지수' 한국 결과 발표… 디지털화 투자, 亞 평균 상회

한국 에너지 업계 경영진 과반수(65%)가 AI(인공지능)와 자동화를 한국 에너지 전환의 핵심 동력으로 꼽았으며, 10명 중 7명(68%)은 향후 5년간 전체 설비투자(CAPEX)의 10% 이상을 에너지 전환 계획에 할당할 것이라고 답했다.

글로벌 전기화 및 자동화 기업 ABB는 4일, 아시아태평양 12개국 10개 산업군 경영진 4천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5 아시아태평양 에너지 전환 준비 지수' 설문조사의 한국 주요 결과를 발표했다.

"韓 에너지 전환, AI·자동화가 핵심 동력"… 68% "설비투자 10% 이상 할당" - 산업종합저널 FA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저탄소 미래를 향한 기술 기반 투자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경영진의 투자 우선순위는 디지털화(43%), 자동화(37%), 전기화(21%)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디지털화 투자 비중은 아태 지역 평균(38%)을 웃돌아, 탈탄소화와 효율성 강화를 위한 기술 활용 측면에서 한국이 선도적인 위치를 보였다.

앤더스 말테센(Anders Maltesen) ABB 에너지 산업 사업부 아시아 대표는 “한국의 에너지 전환은 결정적인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며 “AI 기반 에너지 관리와 스마트 그리드 솔루션 투자는 이제 필수적이며, 비용 효율성, 회복탄력성,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수단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술이 에너지 운영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도 커졌다. 운영 기술(OT) 보호가 핵심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응답자의 92%가 현재 OT 보호를 위한 보안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답했다.

에너지 전환을 위한 투자 확대와 함께 '협력'의 중요성도 강조됐다. 응답자의 약 3분의 1(29%)은 민관 협력을 주요 기회 요인으로 꼽았으며, 60%는 스마트 그리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역내 정부 간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재생에너지 통합과 포트폴리오 다각화도 핵심 과제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18%는 이미 전체 에너지의 절반 이상을 재생에너지로 조달하고 있으며, 74%는 향후 5년 내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이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에너지원별로는 응답자의 65%가 이미 도입한 태양광이 핵심 역할을 할 전망이며, 그린수소(46%)와 풍력(42%)이 주요 신흥 에너지원으로 주목받았다. 이는 2038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121.9GW로 확대하겠다는 정부 계획과도 방향을 같이한다.

ABB는 '2025 아시아태평양 에너지 전환 준비 지수' 조사를 5월부터 6월까지 두 달간 4천85명의 에너지 리더를 대상으로 이중맹검 방식으로 진행했다. ABB는 보고서를 통해 아태 지역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 투자 우선순위와 전환 수요를 일치시키고, 핵심 기술을 신속히 도입하며, 이해관계자 간 긴밀한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허은철 기자 기자 프로필
허은철 기자
echheo@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2027년까지 전력 부족 위기 예상

AI와 생성형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2027년까지 일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트너는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전력 비용 인상과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AI 도입, 매출 4%·부가가치 7.6% 증가…생산성 개선은 '아직'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이 매출과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했다는 실증 분석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도입률은 여전히 낮고,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활용이 더딘 상황이다.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지속성장이니

AGI, 인간 지능을 넘보다… 해외 언론이 주목한 전망과 과제

인공일반지능(AGI)의 발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AGI는 특정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과 유사한 지능을 갖춘 인공지능을 의미하며, 경제·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주요 언론과 전문가들은 AGI의 실현 가능성과 그에 따른 도전 과제, 경제적·윤리적 이슈를 다각도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